어떤 호를 읽고 싶으신가요?
- [지지봄봄_42호] 만남의 문법들
- [지지봄봄_41호] 매개를 다시 묻다
- [지지봄봄_40호] 멈춤과 도약 사이에서
- [지지봄봄_39호] 겨울의 두께
- [지지봄봄_38호] 싸움의 기술
- [지지봄봄_37호] 조난의 계절에 필요한 힘
- [지지봄봄_36호] 저마다의 속도와 리듬으로
- [지지봄봄_35.5호] 침을 뱉어라
- [지지봄봄_35호] 도구, 다정하고 날카로운
- [지지봄봄_34.5호] 공모라는 레토릭
- [지지봄봄_34호] '-다움'을 짓기 위한 상상
- [지지봄봄_33호] 더듬어가기
- [지지봄봄_32호] 생태를 바라보는 시선의 높낮이
- [지지봄봄_31호] 한 발 벗어나기
- [지지봄봄 30호] 비평의 자격과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 29호] 삶과 공간의 변화 - 앞당겨진 초연결 사회 속으로의 ㅋㄹㄴㅅㅍㅇㅅ의 모험
- [지지봄봄_28호] 《지지봄봄》 10주년, 과거와 미래 사이에서(문화예술교육과 시민력(市民力))
- 2020년 |스페셜호 - 온라인 고민공유 집담회 <고민빨래방>
- [지지봄봄_27호] 문화예술교육을 둘러싼 기준들
- [지지봄봄_26호] 누구와 무엇으로 어떻게 만날까
- [지지봄봄_25호] 쉽게 달라지지 않는 것들 사이에서 해보고 있는 것들
- [지지봄봄_24호] 문화예술교육과 연결된 사람들
- [지지봄봄_23호] 문화예술교육, 가르침에서 배움으로
- [지지봄봄_22호] 문화예술교육, 체험에서 경험으로
- [지지봄봄_21호]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 전환을 위하여
- [지지봄봄_20호] 문화예술교육의 기본을 교육예술로 묻다
- [지지봄봄_19호] 공동체에서 꽃피는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_18호] 삶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 메신저가 메시지다
- [지지봄봄_17호] 삶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_16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다시, 문화예술교육을 위하여
- [지지봄봄_15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연구자의 시선
- [지지봄봄_14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지지봄봄_13호] 그럼에도 불구하고 함께 사는 교육을 위하여
- [지지봄봄_12호] 문화예술교육과 생명
- [지지봄봄_11호] 문화예술교육과 민주주의, 지금 여기로부터
- [지지봄봄_10호] 문화예술교육의 자유
- [지지봄봄_6호] 불온(不溫)한 문화예술교육, 사랑하며 춤출 수 있는 용기
- [지지봄봄_5호] 배움의 의례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 [지지봄봄_4호] 경계에서 학교와 문화예술교육의 이념을 돌아보고 방법을 생각합니다
- [지지봄봄_3호] 문화시설이 지역구성원 모두의 창조적 공유지가 되기 위한 실천적 생각들
- [지지봄봄_2호] 문화예술교육의 장소들 곁에서 미적경험의 순간을 봅니다.
- [지지봄봄_1호] 예술가와 아이들을 춤추게 하는 문화예술교육제도
지지봄봄_42호
만남의 문법들
-
프롤로그
<좌담회> ‘존재’로 살아가고, ‘존재’를 만난다는 것 part 1
지지봄봄 42호 -만남의 문법들 인터뷰 <좌담회> ‘존재’로 살아가고, ‘존재’를 만난다는 것 part 1 좌장·글 : 돌고래 좌담회 참여 : 찬찬, 두두, 바른, 김고은 만남이 번거롭고 때로는 벅차고, 덜 필요해지고 그래서 점점 희박해지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만남의 대척점에 서 ..
자세히보기 + -
프롤로그
<좌담회> ‘존재’로 살아가고, ‘존재’를 만난다는 것 part 2
지지봄봄 42호 -만남의 문법들 인터뷰 <좌담회> ‘존재’로 살아가고, ‘존재’를 만난다는 것 part 2 좌장·글 : 돌고래 좌담회 참여 : 찬찬, 두두, 바른, 김고은 함께하는 과정에서 어떤 변화와 가능성을 보았나요? 두두 시작할 때 존재클럽에 어떻게 들어오게 됐는지 적어 보고..
자세히보기 + -
표류기
<다라가>로 시작된 대정골 마을 이야기
지지봄봄 42호 -만남의 문법들 표류기 <다라가>로 시작된 대정골 마을 이야기 강영훈(제람) ‘제주 사람’이라 그 앞 글자와 뒷글자를 따서 ‘제람’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저는, 제가 사는 제주도 서귀포시 대정읍에 위치한 대정골 지역아동센터 아이들과 예술을 매개로 만남을 지속하고 ..
자세히보기 + -
표류기
발견과 만남
지지봄봄 42호 -만남의 문법들 표류기 발견과 만남 이성수(힘빼고컴퍼니 대표) 1. 결론부터 말하자면, '접근성'이 바로 예술 예술이란 나와는 거리가 먼 것으로 인식하며 살았다. 내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이 그러했다. 그런데 중도 시각 장애인이 되고 30대 중반 가량 되었을 무렵 우연히 삶의 이벤트처..
자세히보기 + -
표류기
공간과 함께 오는 것들
지지봄봄 42호 -만남의 문법들 표류기 공간과 함께 오는 것들 김민(초록놀이터 대표) 우리 초록놀이터에게, ‘공간’이 가지는 의미는 크다. 이름대로 정원이나 숲, 텃밭이 활동 배경이자 주제이자 소재이다 보니 가장 먼저 고려하는 요소가 바로 ‘공간’이다. 또한 공간이 단순히 ‘활동 장소..
자세히보기 + -
정책과언어
타자로서의 그/녀와 잘 지낸다는 것
지지봄봄 42호 -만남의 문법들 정책과언어 타자로서의 그/녀와 잘 지낸다는 것 설동준(문화예술 기획자) “구체적 타자와 진심으로 마주하는 정책이 가능할까?” ‘정책’이라는 맥락에서 ‘대상’이라는 단어를 떠올렸을 때 가장 먼저 생각난 문장이다. 노들장애인야학 활동가 홍은전..
자세히보기 + -
기술너머
접근성과 기술, 그 이후
지지봄봄 42호 -만남의 문법들 기술너머 접근성과 기술, 그 이후 최태윤 (작가, 미국 웨인주립대학 조교수) 나는 과학기술에 대한 비평적 관심을 두고 그림, 글, 코딩과 전자 회로 등을 사용하는 미술 작업과 교육을 한다. 그리고 장애인 예술가, 커뮤니티와 함께 작업하고 연대하는 활동을 하고자 노력한다. 이 글에서는..
자세히보기 + -
지금우리는
‘학교 밖’이라는 단어에서 자유로워지기를
지지봄봄 42호 -만남의 문법들 지금우리는 ‘학교 밖’이라는 단어에서 자유로워지기를 김미지(남양주시 꿈드림센터), 김두경, 최나윤(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사업 담당자는 교육대상자에 관한 이해가 충분한가? 담당자들은 끊임없이 곱씹는다. 지금 말하는 담당자는 문화재단에 국한하지 않는다. 여기 학교..
자세히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