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호를 읽고 싶으신가요?
- [지지봄봄_40호] 멈춤과 도약 사이에서
- [지지봄봄_39호] 겨울의 두께
- [지지봄봄_38호] 싸움의 기술
- [지지봄봄_37호] 조난의 계절에 필요한 힘
- [지지봄봄_36호] 저마다의 속도와 리듬으로
- [지지봄봄_35.5호] 침을 뱉어라
- [지지봄봄_35호] 도구, 다정하고 날카로운
- [지지봄봄_34.5호] 공모라는 레토릭
- [지지봄봄_34호] '-다움'을 짓기 위한 상상
- [지지봄봄_33호] 더듬어가기
- [지지봄봄_32호] 생태를 바라보는 시선의 높낮이
- [지지봄봄_31호] 한 발 벗어나기
- [지지봄봄 30호] 비평의 자격과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 29호] 삶과 공간의 변화 - 앞당겨진 초연결 사회 속으로의 ㅋㄹㄴㅅㅍㅇㅅ의 모험
- [지지봄봄_28호] 《지지봄봄》 10주년, 과거와 미래 사이에서(문화예술교육과 시민력(市民力))
- 2020년 |스페셜호 - 온라인 고민공유 집담회 <고민빨래방>
- [지지봄봄_27호] 문화예술교육을 둘러싼 기준들
- [지지봄봄_26호] 누구와 무엇으로 어떻게 만날까
- [지지봄봄_25호] 쉽게 달라지지 않는 것들 사이에서 해보고 있는 것들
- [지지봄봄_24호] 문화예술교육과 연결된 사람들
- [지지봄봄_23호] 문화예술교육, 가르침에서 배움으로
- [지지봄봄_22호] 문화예술교육, 체험에서 경험으로
- [지지봄봄_21호]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 전환을 위하여
- [지지봄봄_20호] 문화예술교육의 기본을 교육예술로 묻다
- [지지봄봄_19호] 공동체에서 꽃피는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_18호] 삶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 메신저가 메시지다
- [지지봄봄_17호] 삶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_16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다시, 문화예술교육을 위하여
- [지지봄봄_15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연구자의 시선
- [지지봄봄_14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지지봄봄_13호] 그럼에도 불구하고 함께 사는 교육을 위하여
- [지지봄봄_12호] 문화예술교육과 생명
- [지지봄봄_11호] 문화예술교육과 민주주의, 지금 여기로부터
- [지지봄봄_10호] 문화예술교육의 자유
- [지지봄봄_6호] 불온(不溫)한 문화예술교육, 사랑하며 춤출 수 있는 용기
- [지지봄봄_5호] 배움의 의례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 [지지봄봄_4호] 경계에서 학교와 문화예술교육의 이념을 돌아보고 방법을 생각합니다
- [지지봄봄_3호] 문화시설이 지역구성원 모두의 창조적 공유지가 되기 위한 실천적 생각들
- [지지봄봄_2호] 문화예술교육의 장소들 곁에서 미적경험의 순간을 봅니다.
- [지지봄봄_1호] 예술가와 아이들을 춤추게 하는 문화예술교육제도
지지봄봄_6호
불온(不溫)한 문화예술교육, 사랑하며 춤출 수 있는 용기
-
더봄
문화예술교육, '성과가 아닌 성찰의 시간'을 요구하다
문화예술교육정책은 지난 10여 년 동안 한국 사회의 문화제도 내에서 가장 폭발적으로 양적 팽창을 달성한 영역이다. 불과 10년 전만 해도 국가 제도 내에 존재하지 않았던 문화예술교육정책은, 2013년 기준으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하 진흥원)의 연간 지출액만 1,000억원이 넘는 규모에 도달했다.*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자세히보기 + -
더봄
마석이야기, 아무것도 없는 것에서의 풍부함
만남의 시작 2004년 이주노동자 활동가와 마석가구단지를 처음으로 방문했다. 늦은 저녁 마석가구단지 풍경은 충격적이었다. 표현하기 어렵지만 마치 낮이 없는 곳 같았다. 미래소년 코난에 나오는 인더스트리아 지하 같은 빛이 없는 장소랄까? 마석가구단지를 오고간 시간이 10년이 흘렀다. 그 시간동안 마석가구단지에 살아보기도 ..
자세히보기 + -
더봄
생활예술공동체 문화바람
문화예술은 유기적인 생명체다. 생태계(ecosystem)는 특정한 단위 공간 내에 있는 모든 생물체와 그들 간의 모든 상호관계를 밝히는 구조로 전체가 존재하는 조건이 된다. 문화예술의 창작/생산․ 매개/유통․ 수용/소비 등 구조를 이러한 생태계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의미는 각 부분을 전체 안에서 연관성을 파악하여 올바른 성장방향..
자세히보기 + -
더봄
기뻐서 기꺼이 하는 문화예술교육
잊어버리고, 잃어버리고, 놓쳐버린 것들을 찾아서 13월, 지난해의 작업도 마무리 되지 않은/마무리 될 리 없는 상태에서 지원금 신청의 계절을 맞이하고 지나보냈다. <땀땀 공작소> 오픈 스튜디오*를 준비하고 진행하는 동안, 마땅히 춤추고 노래해야 할 몸과 마음은 몇 개의 지원 신청서를 열어 놓은 컴퓨터 앞에서 자발적으로..
자세히보기 + -
더봄
한 사람의 혁명을 위하여
나는 여러분에게 1인 혁명을 명령합니다. 그것만이 실현 가능한 유일한 혁명입니다. _ 로버트 프로스트 시 「토양을 만들자(Build Soil)」(1932) 중에서 교육 문제는 교육 문제로만 풀 수 없다. 교육 문제를 교육 문제로 푸는 대증요법으로는 진짜 ‘답’이 나오지 않는다. 교육 문제의 해법은 나와 우리 사회 구..
자세히보기 + -
더봄
삶과예술배움청, ‘배움’으로서의 삶을 다시 생각한다
1. 고민의 시작, ‘창의예술학교’ ‘학교 밖 학교’라는 실험이 가능할까? 창의예술학교는 학교 밖 학교라는 개념으로 출발했다. 이 개념은 현재 한국사회가 안고 있는 두 가지 문제 상황에 대한 반성을 전제하고 있다. 첫 번째는 양질의 전환 시기를 놓쳐 버린 문화예술교육의 오늘에 대한 반성이다. ..
자세히보기 + -
더봄
용기있게 사랑하라, 그리고 춤 추라
[Floor 질문] 1. 정부 주도의 교육 정책들은 정책적 필요성에 의해 인위적으로 진행되는 측면이 크다고 생각한다. 예컨대 아이들에게 소프트웨어 코딩을 가르치는 미래창조과학부의 프로그래밍 교육도 그런 맥락일 것이다. 문화예술교육도 정부가 정책적으로 끌고 가는 프레임인데, 일부 교육자들은 철학적 토대나 고민이 없는 체로 트렌..
자세히보기 + -
더봄
PaTI 생각, 애지음, 생각하는 손, 그리고 삶의 교육
저는 디자인을 직업으로 하다가 작년에 파주에서 타이포그라피 학교 PaTI를 시작했습니다. 소위 교장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PaTI에서는 교장을 ‘날개’라고 부릅니다. 배우미들에게 날개를 달아주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해서 날개라고 지었죠. 저는 만 21년간 학교에 있었습니다. 한글을 전공했는데요. 한글을 공부..
자세히보기 + -
더봄
대안적 삶의 문화예술교육
1990년대 말 대안교육이라는 새로운 담론이 시작됐습니다. 그때 가장 큰 성찰 중 하나가 기존 교육은 삶과 유리된 교육이라는 반성이었습니다. 교과서, 교육과정, 교사의 태도 그 무엇도. 그 방향이 학습자의 삶과는 전혀 무관한 단순한 외우기에 불과했다는 것이죠. 이에 대한 반성으로 대안교육 현장은 삶을 교육 안에 녹아내고 실천해 내려..
자세히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