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호를 읽고 싶으신가요?
- [지지봄봄_40호] 멈춤과 도약 사이에서
- [지지봄봄_39호] 겨울의 두께
- [지지봄봄_38호] 싸움의 기술
- [지지봄봄_37호] 조난의 계절에 필요한 힘
- [지지봄봄_36호] 저마다의 속도와 리듬으로
- [지지봄봄_35.5호] 침을 뱉어라
- [지지봄봄_35호] 도구, 다정하고 날카로운
- [지지봄봄_34.5호] 공모라는 레토릭
- [지지봄봄_34호] '-다움'을 짓기 위한 상상
- [지지봄봄_33호] 더듬어가기
- [지지봄봄_32호] 생태를 바라보는 시선의 높낮이
- [지지봄봄_31호] 한 발 벗어나기
- [지지봄봄 30호] 비평의 자격과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 29호] 삶과 공간의 변화 - 앞당겨진 초연결 사회 속으로의 ㅋㄹㄴㅅㅍㅇㅅ의 모험
- [지지봄봄_28호] 《지지봄봄》 10주년, 과거와 미래 사이에서(문화예술교육과 시민력(市民力))
- 2020년 |스페셜호 - 온라인 고민공유 집담회 <고민빨래방>
- [지지봄봄_27호] 문화예술교육을 둘러싼 기준들
- [지지봄봄_26호] 누구와 무엇으로 어떻게 만날까
- [지지봄봄_25호] 쉽게 달라지지 않는 것들 사이에서 해보고 있는 것들
- [지지봄봄_24호] 문화예술교육과 연결된 사람들
- [지지봄봄_23호] 문화예술교육, 가르침에서 배움으로
- [지지봄봄_22호] 문화예술교육, 체험에서 경험으로
- [지지봄봄_21호]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 전환을 위하여
- [지지봄봄_20호] 문화예술교육의 기본을 교육예술로 묻다
- [지지봄봄_19호] 공동체에서 꽃피는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_18호] 삶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 메신저가 메시지다
- [지지봄봄_17호] 삶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_16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다시, 문화예술교육을 위하여
- [지지봄봄_15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연구자의 시선
- [지지봄봄_14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지지봄봄_13호] 그럼에도 불구하고 함께 사는 교육을 위하여
- [지지봄봄_12호] 문화예술교육과 생명
- [지지봄봄_11호] 문화예술교육과 민주주의, 지금 여기로부터
- [지지봄봄_10호] 문화예술교육의 자유
- [지지봄봄_6호] 불온(不溫)한 문화예술교육, 사랑하며 춤출 수 있는 용기
- [지지봄봄_5호] 배움의 의례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 [지지봄봄_4호] 경계에서 학교와 문화예술교육의 이념을 돌아보고 방법을 생각합니다
- [지지봄봄_3호] 문화시설이 지역구성원 모두의 창조적 공유지가 되기 위한 실천적 생각들
- [지지봄봄_2호] 문화예술교육의 장소들 곁에서 미적경험의 순간을 봅니다.
- [지지봄봄_1호] 예술가와 아이들을 춤추게 하는 문화예술교육제도
지지봄봄_1호
예술가와 아이들을 춤추게 하는 문화예술교육제도
-
더봄
1부 : 현장과 제도, 무엇을 보고 무엇을 고민해야 하는가?
현장과 제도, 무엇을 보고 무엇을 고민해야 하는가? 방담회 첫 번째 이야기 박형주(이하 박) : 오늘 방담회는 지지봄봄 2012년 마지막 회를 맞아, 특별히 외부에 계신 분들을 초청하지는 않고 올 한 해 지지봄봄을 이끌었던 편집위원들이 모여서 그 동안의 이야기를 해 보는 시간이 될 것 같다. 진짜 말 그대로 현장 ..
자세히보기 + -
더봄
2부 : 예술강사 제도의 한계와 돌파구
예술강사 제도의 한계와 돌파구 방담회 두 번째 이야기 (4) 예술 강사, '정규직-비정규직' 프레임으로 설명할 수 없어 박 : 약간 벗어날 수도 있는데, 정규직-비정규직 프레임을 근본적으로 다시 생각해봐야 하는 것 아닌가하는 생각도 든다. 모두 다 정규직화 한다고 발상은, 비..
자세히보기 + -
더봄
3부 : 현장의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보다 더 나은 제도를 위해
현장의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보다 더 나은 제도를 위해 방담회 세 번째 이야기 (7) 제도의 ‘제 역할’을 위한 몇 가지 아이디어 임 : 제도나 정책의 전달체계에서 그를 전담하는 광역센터가 그 부분에 대한 식견 같은게 필요하다. 그런 것들에 대한 ‘매개자’..
자세히보기 + -
넘봄
제도가 사람을 모욕하지 않는 이상향, '품위 있는 사회'
사회담론을 이끌 수 있는 '상징'은 어떤 것이 있을까? 아비사이 마갈릿은 존 롤스의 <정의론>에서 제시된 정의로운 사회와 대조해 우리에게 당장 시급한 문제는 정의가 아니라 '품위 있는 사회'를 이루는 것이라고 주저없이 말한다. 이에 대한 원저의 명칭은 The Decent Society다. Decent는 해석하기에 따라 '괜찮..
자세히보기 + -
넘봄
미래교육의 열쇠, 창의적 문화교육
해방 이후부터 지금까지 성공을 위한 성취와 그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에 치중해 '국영수'교과과정 중심으로 운영되어 온 우리 교육과정이 야기하고 있는 사회적 문제란 적지 않다. 교육은 교육 뿐만이 아니라 세대, 사회, 문화, 나아가 그 시대를 규정하는 힘의 '중추'라는 점에서 사회의 구심점이라 해도 과언이 ..
자세히보기 + -
넘봄
2013 지역특성화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공모 안내
2013 지역특성화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Moving School : 깊고 심심한 동네 관찰기행 [##_1N|cfile24.uf@161E5E4D50E07AE80989F3.hwp|filename="양식_사업계획서.hwp" filemime="Composite Document File V2 Docum"|_##] ■ 사업목표 ○ '공간'을 키워드로 지역사회를 새로운..
자세히보기 + -
더봄
"문화예술은 고급복지가 아니라 숨 쉬는 공기와 같은 것입니다."
대담 : 강원재(OO은대학연구소 1소장), 류설아(경기일보 문화부 기자) 정리 : 강원재 경기도의회의 현직 의원이 131명이고 경기도의 한 해 세입세출예산은 대략 15조원을 넘으니까 의원 1인당 1,000억 원이 넘는 예산에 대한 심의와 견제 권한이 있는 셈이다. 그래서 의원 한 명이 어떤 의식과 생각으로 일 하는지에 따라 도정의 ..
자세히보기 + -
더봄
[세 번째 방담회]'품위 있는 사회'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제도
아주 오랜 기간은 아니지만 문화예술교육은 학교 현장에서, 또 학교 바깥에서 공교육이 외면하다시피 하던 아이들의 감성교육을 매워주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이제는 학교현장에도 속속들이 침투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오늘날, 문화예술교육 혹은 강사는 학교 현장에서,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놓여있는걸까요? 2012년 지..
자세히보기 + -
곁봄
개정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을 우려한다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2013년 도입예정인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에 대해 문화예술교육인력의 “법적자격기준과 관리체계 마련”과 “사회적 인식제고와 신뢰 구축”, “전문성과 경력관리 역량강화”, 그리고 “양성교육과정개발”을 목적으로 한다고 <예술 강사 대상 문화예술교육사 설명회> 자..
자세히보기 + -
기타
20. 행복한 미술 프로젝트-'위대한 화가와 나'
경기일보 기획 <비상하는 에듀-클레스> 20. 행복한 미술 프로젝트-위대한 화가와 나 장혜준 기자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켈란젤로, 김홍도, 피카소, 마네…. TV 혹은 학교 미술시간에서 한 번쯤은 들어봤을법한 이들의 정체는 바로 동ㆍ서양 미술사에 중요한 업적을 남긴 화가들이다. 많은 작품을 남기..
자세히보기 + -
기타
19. 외우는 역사는 싫어! 예술로 만나는 역사에 푹 빠졌네
경기일보 기획 <비상하는 에듀-클레스> 19. 외우는 역사는 싫어! 예술로 만나는 역사에 푹 빠졌네 예술로 배우는 인류 원(原)문명 장혜준 기자 “얼굴에는 미소, 마음에는 평화, 존재하는 모든 것들에게 감사” 둥그런 원을 그리며 무대 위를 걷는 아이들의 명상 소리가 들려온다. 완..
자세히보기 + -
기타
17. 학교폭력ㆍ왕따 토론으로 해법 찾기 "아이들이 달라졌어요"
경기일보 기획 <비상하는 에듀-클레스> 17.'학교폭력ㆍ왕따' 토론으로 해법 찾기 "아이들이 달라졌어요"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 포럼연극 ‘눈사람?눈사람! 장혜준 기자 ‘학교폭력에 시달리던 한 고등학생이 가족들에게 미안하다는 유서를 남기고 아파트에서 뛰어내..
자세히보기 + -
곁봄
'품위 있는 문화사회'는 가능한가?
나는 품위 있는 사회를 꿈꾼다. 품위 있는 사회는 위험사회로의 길이 아니라, 문화사회로의 길을 모색하려 할 때 가능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이스라엘 철학자 아비샤이 마갈릿은 『품위 있는 사회』(1996)라는 저서에서 “품위 있는 사회는 제도가 사람들을 모욕하지 않는 사회”라고 정의한다. 품위 있는 사회는 제도를 통해 그 권..
자세히보기 + -
더봄
"학교 예술강사는 '교사'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경기도 광주 청석에듀시어터 이기복 대표 인터뷰 "학교 예술강사는 ‘교사’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대담 = 고영직 (문학평론가) | 정리 = 정혜교, 고영직 인구 29만 명의 경기도 광주(廣州)에서 30년째 학교 현장 안과 밖에서 청소년들과 함께 연극을 통한 ‘예술교육..
자세히보기 + -
더봄
"커튼콜 받는 순간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
청석에듀시어터 이대명 학생 인터뷰 “커튼콜 받는 순간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 청소년의 '꿈'을 정해주는 것은 무엇인가? 많은 청소년들이 학교로부터, 혹은 부모님으로부터, 아니면 점수 맞춰서 간 대학의 학과나 진로를 두고 20대 초반이 되어서도 고민하고, 부딛친다. 스스로의 미래를 ..
자세히보기 + -
가봄
연극 교육, 공교육이 포용하지 못한 아이들의 '손을 잡다'
전 날 폭설이 내려 가는 곳 마다 푹푹 빠지는 ‘뚝방길’을 헤멘 끝에 눈처럼 ‘하얀 건물’을 만날 수 있었다. 경기도 광주시 경안천川변에 위치한 ‘청석에듀시어터’. 중고등학교 공교육에 종사한 교육가이자 광주시 4개 극단의 리더이기도 한 이기복(57) 대표의 ‘일생일대의 작품’이다. 일반 ..
자세히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