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호를 읽고 싶으신가요?
- [지지봄봄_33호] 더듬어가기
- [지지봄봄_32호] 생태를 바라보는 시선의 높낮이
- [지지봄봄_31호] 한 발 벗어나기
- [지지봄봄 30호] 비평의 자격과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 29호] 삶과 공간의 변화 - 앞당겨진 초연결 사회 속으로의 ㅋㄹㄴㅅㅍㅇㅅ의 모험
- [지지봄봄_28호] 《지지봄봄》 10주년, 과거와 미래 사이에서(문화예술교육과 시민력(市民力))
- 2020년 |스페셜호 - 온라인 고민공유 집담회 <고민빨래방>
- [지지봄봄_27호] 문화예술교육을 둘러싼 기준들
- [지지봄봄_26호] 누구와 무엇으로 어떻게 만날까
- [지지봄봄_25호] 쉽게 달라지지 않는 것들 사이에서 해보고 있는 것들
- [지지봄봄_24호] 문화예술교육과 연결된 사람들
- [지지봄봄_23호] 문화예술교육, 가르침에서 배움으로
- [지지봄봄_22호] 문화예술교육, 체험에서 경험으로
- [지지봄봄_21호]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 전환을 위하여
- [지지봄봄_20호] 문화예술교육의 기본을 교육예술로 묻다
- [지지봄봄_19호] 공동체에서 꽃피는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_18호] 삶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 메신저가 메시지다
- [지지봄봄_17호] 삶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_16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다시, 문화예술교육을 위하여
- [지지봄봄_15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연구자의 시선
- [지지봄봄_14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그럼에도 불구하고 함께 사는 교육을 위하여
- 문화예술교육과 생명
- 문화예술교육과 민주주의, 지금 여기로부터
- 문화예술교육의 자유
- 불온(不溫)한 문화예술교육, 사랑하며 춤출 수 있는 용기
- 배움의 의례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 경계에서 학교와 문화예술교육의 이념을 돌아보고 방법을 생각합니다
- 문화시설이 지역구성원 모두의 창조적 공유지가 되기 위한 실천적 생각들
- 문화예술교육의 장소들 곁에서 미적경험의 순간을 봅니다.
- 예술가와 아이들을 춤추게 하는 문화예술교육제도
지지봄봄_14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 넘봄
-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실천공동체인가?”
14호_넘봄_서평 "실천공동체(Community of Practice): 이론의 함정"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실천 공동체 인가? 채효정 / 경희대 실천교육센터 운영위원 에티엥 웽거(Etienne Wenger),『실천공동체 - 지식창출의 사회생태학』(학지사, 2007) 리처드 세넷(Richard Senett), 『투게더』(현암사, 201..-
채효정_경희대 실천교육센터 운영위원
-
2015.08.21
-
- 더봄
- [14호_공유회] ‘나에게 문화예술교육은 무엇인가?
14호_더봄_공유회 "나에게 문화예술교육은 무엇인가?" 일시 : 2015년 8월 5일 18시~22시 장소 : 가톨릭대학교 청년회관 다리 참여자 - 강원재 00은 대학 연구소, 지지봄봄 편집장 - 고영직 문화평론가, 지지봄봄 편집위원 - 채효정 경희대 후마니타스..-
강원재_00은 대학 연구소
-
2015.08.21
-
- 가봄
- 웹툰으로 보는 우리동네 오성
14호 가봄 현장 스케치 "웹툰으로 보는 우리동네 오성" 박운용 / 만화애니메이션 예술강사-
박운용_만화애니메이션 예술강사
-
2015.08.21
-
- 가봄
- 여름날의 날파람
14호 곁봄 현장 리서치 "여름날의 날파람" 유미진 / 자율학습모임 날파람 싱그러운 여름입니다. 위의 두 사진에서 여름이 느껴지시나요? 우리는 날파람입니다. 사진, 수학, 기계공학 이 어울리지 않는 각기 다른 전공자들이 모여 무더운 여름을 날려버릴 시원한 바람을 일으키는 날..-
유미진 _자율학습모임 날파람
-
2015.08.21
-
- 가봄
- 꽃밭과 함께한 사람들
14호 가봄 현장 스케치 꽃밭과 함께한 사람들 김진아 / 다사리 문화학교 1기 수료생 강연은 아파트 단지 내의 도서관에서 진행되었다. 10시. 조금은 이른 시간 같지만, 가족들의 아침을 마무리한 주부님들이 하나둘씩 모이기 시작했다. 강연이 시작되며 자연스럽게 자리가 차기 시작했고, 음식의 ..-
김진아_다사리 문화학교 1기 수료생
-
2015.08.21
-
- 가봄
- 행복 스토리를 담다
14호_가봄_현장 스케치 "행복 스토리를 담다" 김진아 / 다사리 문화학교 1기 수료생 자연학습공원에 도착해 차에서 내릴 즈음에 비가 툭툭 내리기 시작했다. 자연학습공원은 의왕역에서 그리 멀지 않지만, 인적이 드문 구불구불한 길을 타고 들어가서 만날 수 있는 공간이었다. 비가 만들..-
김진아_다사리 문화학교 1기 수료생
-
2015.08.21
-
- 곁봄
- “변화에 대한 평가, 사람보다는 구조에 주목해야”
14호 곁봄 칼럼 "변화에 대한 평가, 사람보다는 구조에 주목해야" 정석원 / 수원시 평생학습관 관장 사르트르와 배움 사르트르는 ‘B와 D 사이에는 수많은 C가 있다’는 재미있는 말을 남겼다. 사람은 태어나서(Birth) 죽기까지(Death) 많은 선택(Choices)을 하게 되는데, ..-
정석원_수원시 평생학습관 관장
-
2015.08.21
-
- 곁봄
- "서로 가르치고 배우면서 더불어 성장하는"_평택 장당 도서관
14호 곁봄 현장비평 "서로 가르치고 배우면서 더불어 성장하는" 백현주 / 수원시 평생학습관 기획실장 꿈다락토요문화학교 평택 장당도서관의 <우리동네 오성 ‘마을인물백과사전’> 『마당을 나온 암탉』의 저자 황선미의 『바람이 사는 꺽다리 집』은 유년기 자신의 이..-
백현주_수원시 평생학습관 기획실장
-
2015.08.21
-
- 곁봄
- "청년은 완성을 꿈꾸지 않는다" _ 자율학습모임 날파람
14호 곁봄 현장비평 "청년은 완성을 꿈꾸지 않는다" 고영직 / 문학 평론가 ‘할 예정이었어’와 ‘할 수도 있었어’와 ‘했어야 했어’가 모여 햇볕을 쬐며 누워 할 예정이었던 일과 할 수도 있었던 일과 했어야만 했던 일들에 대해 이..-
고영직_문학 평론가
-
2015.08.21
-
- 곁봄
- "마을을 미리 만나는 비현실 공공꽃밭"_꽃밭사람들
14호 곁봄 현장비평 "마을을 미리 만나는 비현실 공공 꽃밭" 강원재 / 00은 대학 연구소 제1소장 여러 마을활동가들의 생각을 모아서 제정했다는 <서울특별시마을공동체만들기지원 등에 관한 조례>에 따르면 마을이란 “주민이 일상생활을 영위하면서 경제·문화·..-
강원재_00은 대학 연구소 제1소장
-
2015.08.21
-
- 곁봄
- "사진 프레임을 배우며 세상 보는 프레임이 변했다"_(사)경기도장애인정보화협회 군포시지회
14호_곁봄_현장비평 "사진 프레임을 배우며 세상 보는 프레임이 변했다" 고영직 / 문학 평론가 혼자 밥을 먹으면 눈물이 난다. 식욕이 없어서 혼자 산책을 하면 외롭다. 상점이 모두 문을 닫아서 혼자 영화를 보면 구석에 가서 울고 싶다. 등이 갈라지면서 또..-
고영직_문학 평론가
-
2015.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