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호를 읽고 싶으신가요?
- [지지봄봄_33호] 더듬어가기
- [지지봄봄_32호] 생태를 바라보는 시선의 높낮이
- [지지봄봄_31호] 한 발 벗어나기
- [지지봄봄 30호] 비평의 자격과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 29호] 삶과 공간의 변화 - 앞당겨진 초연결 사회 속으로의 ㅋㄹㄴㅅㅍㅇㅅ의 모험
- [지지봄봄_28호] 《지지봄봄》 10주년, 과거와 미래 사이에서(문화예술교육과 시민력(市民力))
- 2020년 |스페셜호 - 온라인 고민공유 집담회 <고민빨래방>
- [지지봄봄_27호] 문화예술교육을 둘러싼 기준들
- [지지봄봄_26호] 누구와 무엇으로 어떻게 만날까
- [지지봄봄_25호] 쉽게 달라지지 않는 것들 사이에서 해보고 있는 것들
- [지지봄봄_24호] 문화예술교육과 연결된 사람들
- [지지봄봄_23호] 문화예술교육, 가르침에서 배움으로
- [지지봄봄_22호] 문화예술교육, 체험에서 경험으로
- [지지봄봄_21호]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 전환을 위하여
- [지지봄봄_20호] 문화예술교육의 기본을 교육예술로 묻다
- [지지봄봄_19호] 공동체에서 꽃피는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_18호] 삶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 메신저가 메시지다
- [지지봄봄_17호] 삶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_16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다시, 문화예술교육을 위하여
- [지지봄봄_15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연구자의 시선
- [지지봄봄_14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그럼에도 불구하고 함께 사는 교육을 위하여
- 문화예술교육과 생명
- 문화예술교육과 민주주의, 지금 여기로부터
- 문화예술교육의 자유
- 불온(不溫)한 문화예술교육, 사랑하며 춤출 수 있는 용기
- 배움의 의례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 경계에서 학교와 문화예술교육의 이념을 돌아보고 방법을 생각합니다
- 문화시설이 지역구성원 모두의 창조적 공유지가 되기 위한 실천적 생각들
- 문화예술교육의 장소들 곁에서 미적경험의 순간을 봅니다.
- 예술가와 아이들을 춤추게 하는 문화예술교육제도
지지봄봄_15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연구자의 시선
-
- 곁봄
- 학교 문화예술교육 안녕하신가요?
15호 곁봄 | 이슈 진단&처방전 학교 문화예술교육 안녕하신가요? 백령 / 경희대 문화예술경영연구소 연구위원 대표 안녕하세요? 경기문화재단 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입니다. ‘학교 문화예술교육’ 16년, 사람의 나이로 보자면 중학교 3학년의 나이입니다. 질풍노도의 시기이기 때문일까요? 16살의 &l..-
백령_경희대 문화예술경영연구소 연구위원 대표
-
2015.11.26
-
- 곁봄
- 이슈 진단&처방자 _ 호중훈(만화애니메이션 예술강사)
.prescription { border:1px solid #d9d9d9; margin-bottom:30px; background:#fcfcfc; } .prescription td { border:1px solid #d9d9d9; border-left:0px; border-top:0px; padding:10px; text-align:center; color:#555; } .prescription td.main_title { color:#000; font-weight:bold; font-size:20px; background:#f1f9fc; } .prescri..-
호중훈_경기문화재단 예술강사
-
2015.11.24
-
- 곁봄
- 이슈 진단&처방자 _ 함형식(연극 예술강사)
.prescription { border:1px solid #d9d9d9; margin-bottom:30px; background:#fcfcfc; } .prescription td { border:1px solid #d9d9d9; border-left:0px; border-top:0px; padding:10px; text-align:center; color:#555; } .prescription td.main_title { color:#000; font-weight:bold; font-size:20px; background:#f1f9fc; } .prescri..-
함형식_서울문화재단
-
2015.11.24
-
- 곁봄
- 이슈 진단&처방자 _ 손희선(대월중학교)
.prescription { border:1px solid #d9d9d9; margin-bottom:30px; background:#fcfcfc; } .prescription td { border:1px solid #d9d9d9; border-left:0px; border-top:0px; padding:10px; text-align:center; color:#555; } .prescription td.main_title { color:#000; font-weight:bold; font-size:20px; background:#f1f9fc; } .prescri..-
손희선_대월중학교
-
2015.11.24
-
- 곁봄
- 이슈 진단&처방자 _ 김석범(수원대학교)
.prescription { border:1px solid #d9d9d9; margin-bottom:30px; background:#fcfcfc; } .prescription td { border:1px solid #d9d9d9; border-left:0px; border-top:0px; padding:10px; text-align:center; color:#555; } .prescription td.main_title { color:#000; font-weight:bold; font-size:20px; background:#f1f9fc; } .prescri..-
김석범_수원대학교 연극영화학부
-
2015.11.24
-
- 더봄
- 문화예술교육의 본질과 현대적 의미
15호 더봄 | 좌담회 문화예술교육의 본질과 현대적 의미 신승환, 김영현, 김인규, 최혜자 일시 : 2015.10.31 14:00 장소 : 서울역 루싱 참여자 - 최혜자(성공회대학교 문화대학원 초빙교수,문화디자인 자리 대표, 지지봄봄 15호 편집장) _ 사회 - 김영현(유알아트) - 김인규(충..-
최혜자_성공회대학교 문화대학원 초빙교수,문화디자인 자리 대표, 지지봄봄 15호 편집장
-
2015.11.21
-
- 곁봄
- 지역문화예술교육“정책”에게 “현장”의 답은 어떻게 전달될 수 있는가?
15호 곁봄 | 비평 지역문화예술교육“정책”에게 “현장”의 답은 어떻게 전달될 수 있는가? 이원재 / 문화연대 문화정책센터 소장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정책”은 공공의 적이 된지 오래다. 공공의 적까지는 아니더라도 “정책 이야기 그만하고 현장에 대해 이야기하자&..-
이원재_문화연대 문화정책센터 소장
-
2015.11.17
-
- 곁봄
- 다른 나라의 문화예술교육 들여다보기
15호 곁봄ㅣ 비평 다른 나라의 문화예술교육 들여다보기 최혜자 / 성공회대학교 문화대학원 초빙교수,문화디자인 자리 대표, 지지봄봄 15호 편집장 다른 나라의 문화예술교육 들여다보기[이 글은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사례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를 기초로 작성되었다.] 다른 나라의 ..-
최혜자_성공회대학교 문화대학원 초빙교수,문화디자인 자리 대표, 지지봄봄 15호 편집장
-
2015.11.13
-
- 곁봄
- 정책과 지원 안에서 문화예술교육 담론을 찾아서
15호 곁봄 | 칼럼 정책과 지원 안에서 문화예술교육 담론을 찾아서 백령 / 경희대 문화예술경영연구소 연구위원 대표 들어가며 최근에는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법과 제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역할, 지역 전달체계, 예술강사와 노조, 지원사업, 평가, 연구, 연수 등 문화예술교육과 연관된 단어들도 인터넷 검색창..-
백령_경희대 문화예술경영연구소 연구위원 대표
-
2015.11.12
-
- 넘봄
- 교육철학 없는 문화예술교육을 넘어
15호 넘봄 | 서평 교육철학 없는 문화예술교육을 넘어 고영직 / 문학비평가 함석헌, “비전 없는 백성은 망한다”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은 양적 성장을 넘어 질적 도약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그동안 문화예술교육은 2005년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제정과 함께 출범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개원 이후 ..-
고영직_문학비평가
-
0000.00.00
-
- 더봄
- 지역사회에서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비전(게시2)
15호 더봄 | 방담회 지역사회에서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비전 이원재, 김월식, 박형주, 송수연, 전지영 일시 : 2015.10.30 19:30 장소 : 사당역 달여울 참여자 - 이원재(문화연대, 지지봄봄 15호 편집위원) _ 사회 - 김월식(무늬만 커뮤니티) - 박형주(하자센..-
이원재_문화연대, 지지봄봄 15호 편집위원
-
0000.0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