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호를 읽고 싶으신가요?
- [지지봄봄_40호] 멈춤과 도약 사이에서
- [지지봄봄_39호] 겨울의 두께
- [지지봄봄_38호] 싸움의 기술
- [지지봄봄_37호] 조난의 계절에 필요한 힘
- [지지봄봄_36호] 저마다의 속도와 리듬으로
- [지지봄봄_35.5호] 침을 뱉어라
- [지지봄봄_35호] 도구, 다정하고 날카로운
- [지지봄봄_34.5호] 공모라는 레토릭
- [지지봄봄_34호] '-다움'을 짓기 위한 상상
- [지지봄봄_33호] 더듬어가기
- [지지봄봄_32호] 생태를 바라보는 시선의 높낮이
- [지지봄봄_31호] 한 발 벗어나기
- [지지봄봄 30호] 비평의 자격과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 29호] 삶과 공간의 변화 - 앞당겨진 초연결 사회 속으로의 ㅋㄹㄴㅅㅍㅇㅅ의 모험
- [지지봄봄_28호] 《지지봄봄》 10주년, 과거와 미래 사이에서(문화예술교육과 시민력(市民力))
- 2020년 |스페셜호 - 온라인 고민공유 집담회 <고민빨래방>
- [지지봄봄_27호] 문화예술교육을 둘러싼 기준들
- [지지봄봄_26호] 누구와 무엇으로 어떻게 만날까
- [지지봄봄_25호] 쉽게 달라지지 않는 것들 사이에서 해보고 있는 것들
- [지지봄봄_24호] 문화예술교육과 연결된 사람들
- [지지봄봄_23호] 문화예술교육, 가르침에서 배움으로
- [지지봄봄_22호] 문화예술교육, 체험에서 경험으로
- [지지봄봄_21호]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 전환을 위하여
- [지지봄봄_20호] 문화예술교육의 기본을 교육예술로 묻다
- [지지봄봄_19호] 공동체에서 꽃피는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_18호] 삶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 메신저가 메시지다
- [지지봄봄_17호] 삶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_16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다시, 문화예술교육을 위하여
- [지지봄봄_15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연구자의 시선
- [지지봄봄_14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지지봄봄_13호] 그럼에도 불구하고 함께 사는 교육을 위하여
- [지지봄봄_12호] 문화예술교육과 생명
- [지지봄봄_11호] 문화예술교육과 민주주의, 지금 여기로부터
- [지지봄봄_10호] 문화예술교육의 자유
- [지지봄봄_6호] 불온(不溫)한 문화예술교육, 사랑하며 춤출 수 있는 용기
- [지지봄봄_5호] 배움의 의례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 [지지봄봄_4호] 경계에서 학교와 문화예술교육의 이념을 돌아보고 방법을 생각합니다
- [지지봄봄_3호] 문화시설이 지역구성원 모두의 창조적 공유지가 되기 위한 실천적 생각들
- [지지봄봄_2호] 문화예술교육의 장소들 곁에서 미적경험의 순간을 봅니다.
- [지지봄봄_1호] 예술가와 아이들을 춤추게 하는 문화예술교육제도
지지봄봄_22호
문화예술교육, 체험에서 경험으로
-
더봄
‘문화예술교육, 체험에서 경험으로’
22호 더봄 | 좌담회 ‘문화예술교육, 체험에서 경험으로’ 일 시 : 2017. 11. 21(화) 15:00-18:00 장 소 : 스페이스 노아 진 행 : 김월식(무늬만커뮤니티) 참 석 자 - 임상빈(잔꾀) - 김소연(연극평론가) - 박도빈(동네형들) - 한승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센터장) - ..
자세히보기 + -
가봄
지아정원의 변명
22호 가봄 | 현장스케치 지아정원의 변명 이현정 / 지아정원 ※ 지아정원은 황대원 선생님(예술비평가)께 현재 진행하고 있는 ‘우리는 가족이야, 아니야?’라는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 대해 두 번의 비평을 부탁드렸습니다. 그 중 첫 번째 글이 도착했고 그 글은 저희가 하는 일과 의도했던 것..
자세히보기 + -
곁봄
플럭서스에서 배우다
22호 곁봄 | 칼럼 플럭서스에서 배우다 구정화 / 백남준아트센터 큐레이터 경험으로서 예술 역사적으로 기술의 발전은 산업현장과 더불어 교실의 모습을 바꾸어왔으며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이 화두인 오늘날의 상황도 마찬가지이다. 이미 오래전부터 수많은 미래학자는 향후 소멸할 몇 개의 키워드로 학교라는 ..
자세히보기 + -
곁봄
문화의 생산 주체로서의 예술 교육
22호 곁봄 | 칼럼 문화의 생산 주체로서의 예술 교육 박도빈 / 문화예술커뮤니티 동네형들 공동대표 문화예술커뮤니티 동네형들은 문화예술을 매개로 일상을 나누며 작지만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어 가고 있는 문화예술 단체이자 플랫폼이다. 6년째 다양한 형태의 예술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면서도 예술 전공자나 예술..
자세히보기 + -
곁봄
단두대 위에 올라선 체험주의
22호 곁봄 | 칼럼 단두대 위에 올라선 체험주의 임상빈 / 잔꾀 ♟ 느리고 고집스러운 농부로부터 유기농법에는 땅에서 돌을 골라내지 말고 극심한 가뭄이 아니면 물도 주지 말라는 충고가 있다. 땅에는 흙과 함께 다양한 크기의 돌들이 뒤엉켜 있다. 돌을 골라낸 토양에서는 작물이 잘 자란다. 수확량도 많다. ..
자세히보기 + -
곁봄
상상력의 징후에 대한 내밀한 자기고백(기획의 변)
22호 곁봄 | 칼럼 상상력의 징후에 대한 내밀한 자기고백(기획의 변) 김월식 / 무늬만커뮤니티 디렉터 예술가에 의한 예술가를 위한 예술가의 문화예술교육 오래된 생각이다. 늘 머릿속을 떠나지 않았던 몇 가지 질문의 답을 구하느라 이리저리 방황하며 고민의 출구를 찾으려 했지만 대체로 돌아오는 답은 또..
자세히보기 + -
곁봄
'몸소 겪는다'는 것
22호 곁봄 | 칼럼 '몸소 겪는다'는 것 김소연 / 연극평론가 이번 호 『지지봄봄』의 주제는 ‘체험에서 경험으로’다. 체험과 경험을 어떻게 구별할 수 있을까. 사전적 정의는 이렇다. 체험 : ① 자기가 몸소 겪음. 또는 그런 경험. ② <심리> 유기체가 직접 경험한 심적 과정. 경험과는 달리 지..
자세히보기 + -
가봄
안전하지 않은 상상에 대한 응원
22호 가봄 | 현장스케치 안전하지 않은 상상에 대한 응원 최선영 / 창작그룹 비기자 “아빠의 코 고는 소리를 녹음한다는 것은 교육이 될 수 있을까” 경기문화예술교육 매개자 역량강화 워크숍 ‘상상력의 징후’ 중간에 이러한 이야기가 나왔다. 본 워크숍은 이러한 물음들을 뜬금없..
자세히보기 + -
가봄
지금부터 무엇도 상상하지 마세요
22호 가봄 | 현장스케치 지금부터 무엇도 상상하지 마세요 김은기 / 신기술소 ‘관찰은 생각의 한 형태이고, 생각은 관찰의 한 형태이다’ 『생각의 탄생』, 미셸 루트번스타인+로버트 루트번스타인, 에코의 서재, 2007 이 글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3일간의 워크숍 <상상력의..
자세히보기 + -
가봄
상상력을 위한 썸띵
22호 가봄 | 현장스케치 상상력을 위한 썸띵 강지윤 / 작가 * 본 기록은 9월 6일부터 8일, 경기상상캠퍼스에서 진행된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역량 강화 워크숍 <상상력의 징후>의 일부 과정을 관찰자의 입장에서 기록한 것이다. 참여자들은 네 모둠으로 나뉘어 각기 다른 워크숍을 경험하였고 이 글은 그 중 김월..
자세히보기 + -
넘봄
빛깔 좋은 생각 도구들도 꿰어야 보배다, 어떻게?
22호 넘봄 | 서평 빛깔 좋은 생각 도구들도 꿰어야 보배다, 어떻게? 강정석 / 지식순환협동조합 창의성을 ‘강박’으로 요구하는 사회 아마도 ‘창의성’은 21세기를 살아가는 지금 우리를 둘러싼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손꼽힐 것이다. 거의 모든 사회적 분야에서 우리는 창의성을 ..
자세히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