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문화 재단
  •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4 지지봄봄 무크지 02호

    • 웹진
    • 조회수 : 2361
    • 2014.09.16
  • 2014지지봄봄.jpg
    • 목차
      이 책을 만들며
      지지봄봄, 다르샤나! 여러분 안녕하신지요? 4

      여는 글
      경계를 넘나드는 예술, 그리고 교육 12
      1. 문화예술교육의 장소들
      ① 마을에 깃든 문화예술교육(방담) 20
      ②’나 홀로 볼링’은 더 이상 없다 34
      ③ 지역이 마을로 변해가는 백년의 시간 – 예술과 텃밭 40
      ④ 사람과 지역을 움직이는 힘, 문화적 태도와 상호작용 46

      2. 지역공동체의 창조적 공유지, 문화시설
      ① 런던박물관’Our Londinium 2012’전시가 담은 ‘세계의 이야기’프로젝트 52
      ② 공기관 문화시설의’창조적 공유지’몸살 앓기 58
      ③ 시민들의’제3의 장소’이기를 희망하는 미술관, 문화공장 오산 65
      ④ 우리는 자원이 아니라 공유지를 지켜야 한다 70
      ⑤ ‘누구의’것 아닌’누구나의’공간을 꿈꾸며 77

      3. 경계에서 본 학교와 문화예술교육
      ① 타고르의 학교, 비스바바라티 86
      ② 원곡동 예술교육의’나우토피아’를 꿈꾼다 91
      ③ 담장 없는 지역사회 배움의 공동체, 호평중학교 98
      ④ 말은 가르치지만, 행동은 감동하게 한다 104
      PaTI 생각, 애지음, 생각하는 손, 그리고 삶의 교육 111

      4. 배움의 의례
      ① 교육으로서의 의례 1 1 8
      ② 마지막에 대한 예의 -긍정의 상상력으로 쓴 두 편의 촛불시를 중심으로 123
      ③ 만남을 통한 배움, 그리고 그 배움을 매듭짓는 방식 – 통합예술교육연구소 다락의 <응답하라! 군포8414> 128
      ④ 배움의 자리에서 의례의 자리를 찾는다 133

      닫는 글
      문화예술교육,“ 성과가아닌성찰의시간”을요구하다 155
    • 이북 보기e북 보기
  • 공공누리 저작권
  •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단, 작품 사진의 경우 작품저작권자의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문의 후 이용 바랍니다.

2014 지지봄봄 무크지 0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