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호를 읽고 싶으신가요?
- [지지봄봄_41호] 매개를 다시 묻다
- [지지봄봄_40호] 멈춤과 도약 사이에서
- [지지봄봄_39호] 겨울의 두께
- [지지봄봄_38호] 싸움의 기술
- [지지봄봄_37호] 조난의 계절에 필요한 힘
- [지지봄봄_36호] 저마다의 속도와 리듬으로
- [지지봄봄_35.5호] 침을 뱉어라
- [지지봄봄_35호] 도구, 다정하고 날카로운
- [지지봄봄_34.5호] 공모라는 레토릭
- [지지봄봄_34호] '-다움'을 짓기 위한 상상
- [지지봄봄_33호] 더듬어가기
- [지지봄봄_32호] 생태를 바라보는 시선의 높낮이
- [지지봄봄_31호] 한 발 벗어나기
- [지지봄봄 30호] 비평의 자격과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 29호] 삶과 공간의 변화 - 앞당겨진 초연결 사회 속으로의 ㅋㄹㄴㅅㅍㅇㅅ의 모험
- [지지봄봄_28호] 《지지봄봄》 10주년, 과거와 미래 사이에서(문화예술교육과 시민력(市民力))
- 2020년 |스페셜호 - 온라인 고민공유 집담회 <고민빨래방>
- [지지봄봄_27호] 문화예술교육을 둘러싼 기준들
- [지지봄봄_26호] 누구와 무엇으로 어떻게 만날까
- [지지봄봄_25호] 쉽게 달라지지 않는 것들 사이에서 해보고 있는 것들
- [지지봄봄_24호] 문화예술교육과 연결된 사람들
- [지지봄봄_23호] 문화예술교육, 가르침에서 배움으로
- [지지봄봄_22호] 문화예술교육, 체험에서 경험으로
- [지지봄봄_21호]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 전환을 위하여
- [지지봄봄_20호] 문화예술교육의 기본을 교육예술로 묻다
- [지지봄봄_19호] 공동체에서 꽃피는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_18호] 삶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 메신저가 메시지다
- [지지봄봄_17호] 삶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_16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다시, 문화예술교육을 위하여
- [지지봄봄_15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연구자의 시선
- [지지봄봄_14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지지봄봄_13호] 그럼에도 불구하고 함께 사는 교육을 위하여
- [지지봄봄_12호] 문화예술교육과 생명
- [지지봄봄_11호] 문화예술교육과 민주주의, 지금 여기로부터
- [지지봄봄_10호] 문화예술교육의 자유
- [지지봄봄_6호] 불온(不溫)한 문화예술교육, 사랑하며 춤출 수 있는 용기
- [지지봄봄_5호] 배움의 의례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 [지지봄봄_4호] 경계에서 학교와 문화예술교육의 이념을 돌아보고 방법을 생각합니다
- [지지봄봄_3호] 문화시설이 지역구성원 모두의 창조적 공유지가 되기 위한 실천적 생각들
- [지지봄봄_2호] 문화예술교육의 장소들 곁에서 미적경험의 순간을 봅니다.
- [지지봄봄_1호] 예술가와 아이들을 춤추게 하는 문화예술교육제도
지지봄봄_21호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 전환을 위하여
-
넘봄
삶의 여정에 감각과 의식을 깨워주는 ‘예술하기’
21호 넘봄 | 서평 삶의 여정에 감각과 의식을 깨워주는 ‘예술하기’ 에릭 부스 『일상, 그 매혹적인 예술』 서지혜 / 인컬쳐컨설팅 오늘날 예술가들은 예술이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의 필요에 응하며 역할을 확장해가는 데에 동원되거나 적극적인 탐색을 주도하는 활동에 꽤 비중 있는 시간을 할애한다...
자세히보기 + -
넘봄
웰니스 신드롬 – 행복을 ‘사적인 것’으로 만드는 기술
21호 넘봄 | 서평 웰니스 신드롬 – 행복을 ‘사적인 것’으로 만드는 기술 칼 세데르스트룀 외 『건강신드롬』 채효정 / 정치학자 “이상하지 않아? 옛날에 우리가 어렸을 땐 낚시, 등산, 야영, 들놀이, 물놀이 같은 것들이 다 서민들의 여가문화 아니었나? 그런데 언젠가부터 그런 문화가 전..
자세히보기 + -
더봄
‘수업혁명’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하여
21호 더봄 | 좌담회 ‘수업혁명’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하여 일시 : 2017.07.10. (월) 장소 : 서울역 상상캔버스 진행 : 고영직(문학평론가) 참석자 - 김경옥(대안공간 민들레 대표) - 백용성(철학자, 문화기획자) - 오명숙(새롭게 보는 박물관 학교 대표) - 정민룡(광주북구문화의집 관장) ..
자세히보기 + -
더봄
‘문화분권’ 위한 거버넌스를 구축하자
21호 더봄 | 기획대담 ‘문화분권’ 위한 거버넌스를 구축하자 새 정부에 바란다: 문화예술교육 정책 일시 : 2017.07.05.(수) 장소 : 서울혁신센터 청년허브 진행 : 경기문화재단 문화예술본부장 박희주 참석자 - 정연희(前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육진흥본부장) - 차재근(서울시 청년허브센터..
자세히보기 + -
가봄
제작·놀이·실험의 아지트, 릴리쿰에 가다
21호 가봄 | 현장스케치 제작·놀이·실험의 아지트, 릴리쿰에 가다 송수연 / 언메이크 랩 DIY 문화, 개인 제조에서 교육, 사회문제 해결에 이르기까지 제작과 기술에 대한 사회적·문화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도시재생 프로젝트, 메이커 스페이스 등을 매개로 제작 이슈가 ..
자세히보기 + -
가봄
세계-선을 만들어가는 춤 판 - 호크마 댄스 씨어터, “바디 토크”
21호 가봄 | 현장스케치 세계-선을 만들어가는 춤 판 호크마 댄스 씨어터, “바디 토크” 백용성 / 철학자, 문화기획자 1 땡볕 오후, 분당 정자동에 도착해 탄천을 따라 걸었다. 멀리 탄천 야외 수영장에서 아이들 노는 소리가 들렸다. 아파트 단시 사이 다소 한적한 빌라 촌에 ..
자세히보기 + -
곁봄
우리는 미적 공화국의 자유인이다
21호 곁봄 | 칼럼 우리는 미적 공화국의 자유인이다 고영직 / 문학평론가 어느 기획자는 “기획은 관계의 호출이다”(정민룡)라는 ‘기획자의 철학’을 강조한다.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고 잇는 기획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 언명이라고 할 수 있다. 1997년 개관한 광주 북구문화의집 정민룡 관장은 이..
자세히보기 + -
곁봄
어떻게 가르치지 않고 배우게 할 것인가
21호 곁봄 | 칼럼 어떻게 가르치지 않고 배우게 할 것인가 김찬호 / 사회학자 1999년 뉴델리 NIIT 공대 컴퓨터 과학자들이 <벽에 뚫은 구멍(Hole in the Wall)>이라는 이색적인 실험을 했다. 어느 빈민가를 둘러싸고 있는 벽에 구멍을 뚫고 터치스크린 컴퓨터를 설치해놓았다. 그곳에 사는 아이들은 컴퓨터는..
자세히보기 + -
곁봄
해외사례로 본 예술교육
21호 곁봄 | 칼럼 해외사례로 본 예술교육 남인우 / 극단북새통 예술감독 필자는 2013년 서울문화재단의 ‘해외 우수 문화예술교육기관 교류사업’ 방문단의 일원으로 유럽 4개국 주요 문화예술교육 관련 기관을 탐방하였다. 영국 런던의 ‘오페라하우스’에서부터 벨기에의 ‘ABC하우스&rsqu..
자세히보기 + -
곁봄
코칭으로서 교육과 진리 생산공동체로서 학교
21호 곁봄 | 칼럼 코칭으로서 교육과 진리 생산공동체로서 학교 함돈균 / 문학평론가 어떤 문제를 해결하려고 할 때 우리가 엄두를 못 내는 경우, 그 이유는 문제를 한꺼번에 전체적으로 해결하려고 하기 때문인 경우가 많다. 문제의 파악은 총체적이고 구조적인 시야 속에서 이루어져야 하지만, 문제의 풀이는 정..
자세히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