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호를 읽고 싶으신가요?
- [지지봄봄_41호] 매개를 다시 묻다
- [지지봄봄_40호] 멈춤과 도약 사이에서
- [지지봄봄_39호] 겨울의 두께
- [지지봄봄_38호] 싸움의 기술
- [지지봄봄_37호] 조난의 계절에 필요한 힘
- [지지봄봄_36호] 저마다의 속도와 리듬으로
- [지지봄봄_35.5호] 침을 뱉어라
- [지지봄봄_35호] 도구, 다정하고 날카로운
- [지지봄봄_34.5호] 공모라는 레토릭
- [지지봄봄_34호] '-다움'을 짓기 위한 상상
- [지지봄봄_33호] 더듬어가기
- [지지봄봄_32호] 생태를 바라보는 시선의 높낮이
- [지지봄봄_31호] 한 발 벗어나기
- [지지봄봄 30호] 비평의 자격과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 29호] 삶과 공간의 변화 - 앞당겨진 초연결 사회 속으로의 ㅋㄹㄴㅅㅍㅇㅅ의 모험
- [지지봄봄_28호] 《지지봄봄》 10주년, 과거와 미래 사이에서(문화예술교육과 시민력(市民力))
- 2020년 |스페셜호 - 온라인 고민공유 집담회 <고민빨래방>
- [지지봄봄_27호] 문화예술교육을 둘러싼 기준들
- [지지봄봄_26호] 누구와 무엇으로 어떻게 만날까
- [지지봄봄_25호] 쉽게 달라지지 않는 것들 사이에서 해보고 있는 것들
- [지지봄봄_24호] 문화예술교육과 연결된 사람들
- [지지봄봄_23호] 문화예술교육, 가르침에서 배움으로
- [지지봄봄_22호] 문화예술교육, 체험에서 경험으로
- [지지봄봄_21호]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 전환을 위하여
- [지지봄봄_20호] 문화예술교육의 기본을 교육예술로 묻다
- [지지봄봄_19호] 공동체에서 꽃피는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_18호] 삶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 메신저가 메시지다
- [지지봄봄_17호] 삶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_16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다시, 문화예술교육을 위하여
- [지지봄봄_15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연구자의 시선
- [지지봄봄_14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지지봄봄_13호] 그럼에도 불구하고 함께 사는 교육을 위하여
- [지지봄봄_12호] 문화예술교육과 생명
- [지지봄봄_11호] 문화예술교육과 민주주의, 지금 여기로부터
- [지지봄봄_10호] 문화예술교육의 자유
- [지지봄봄_6호] 불온(不溫)한 문화예술교육, 사랑하며 춤출 수 있는 용기
- [지지봄봄_5호] 배움의 의례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 [지지봄봄_4호] 경계에서 학교와 문화예술교육의 이념을 돌아보고 방법을 생각합니다
- [지지봄봄_3호] 문화시설이 지역구성원 모두의 창조적 공유지가 되기 위한 실천적 생각들
- [지지봄봄_2호] 문화예술교육의 장소들 곁에서 미적경험의 순간을 봅니다.
- [지지봄봄_1호] 예술가와 아이들을 춤추게 하는 문화예술교육제도
지지봄봄_5호
배움의 의례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
더봄
[2013-4 방담회] 1. 12월은 통과의례의 달
1. 12월은 통과의례의 달 - 나하나 : 12월이면 지원사업을 마무리하는 기간이다. 오늘 《지지봄봄》 방담회에서는 연말에 이루어지는 발표회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짚어보려 한다. 교육을 끝내는 각종 의례들이 올해를 정리하는 의미도 있지만, 내년을 준비하는 의미도 있어서 어떤 방식, 혹은 어떤 과정이 담긴 의..
자세히보기 + -
더봄
[2013-4 방담회] 2. 의례에서 배우는 완결의 체험과 소통의 경험
2. 의례에서 배우는 완결의 체험과 소통의 경험 - 김겸 : 문화예술교육이든 발표회든 간에 분리해서 생각을 하셔서 자꾸 현실적으로 어떻게 보여지는가에 대해 고민을 하게 된다. 일단 발표가 되면 사회적으로 여러가지 실용적인 의미에서 평가를 받든, 내년 예산을 받는데 도움이 되든 간에, 그것은 부차적으로 따르는 일..
자세히보기 + -
더봄
[2013-4 방담회] 3. 무엇이 성장을 위한 의례를 방해하는가
3. 무엇이 성장을 위한 의례를 방해하는가 - 김경옥 : 교육적 의미가 있으려면 ‘시간성’을 확보하는 것도 필요하다. 교감을 통해 무언가를 완성하고, 매듭을 지으면 좋은데, 짧은 시간 안에서 무언가 해치우게 하는 구조의 문화예술교육이 되다 보면, 마무리 의미를 갖는 의례조차도 교육적 역할은 무시되고 그..
자세히보기 + -
더봄
[2013-4 방담회] 4. 새로운 의례의 언어는 가능한가
4. 새로운 의례의 언어는 가능한가 ― 기획자와 예술교사의 역할 - 김겸 : 학생을 지도할 때는 아이에게 이것이 ‘진정한 완결’인지에 대해 자꾸 질문을 해야 한다. 그리고 한정된 시간 안에 학생이 생각하는 완성을 만들어보라고 제안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아이들은 이것이 끝난 것인지 아닌지 모르..
자세히보기 + -
가봄
하늘을 보고 동네를 꿈꾸고
하늘을 보고 동네를 꿈꾸고! - 파주 극단 프레이플레이어의 '별을 찾는 사람들' 입구에 들어서자 문 양쪽으로 나란히 선 아이들이 반갑게 인사를 건넵니다. 11월 30일 파주시민회관에서 개최된 '별을 찾는 사람들'의 올해 마지막 발표회. 문을 들어서자 안내자 역할을 맡은 아이가 ..
자세히보기 + -
넘봄
함께하면 행복한 ‘의례’가 됩니다
한 아이가 있었다. 아이는 선생님을 아주 무서워했고, 아이들도 그 아이를 무서워했다. 아이는 학교에서 아무것도 제대로 배우지 못했고, 급우들은 아이를 ‘땅꼬마’ ‘바보 멍청이’라고 놀렸다. 아이의 성적은 늘 뒤처지는 꼴찌였고, 그래서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았다. 아이는 외톨이였고, 철저히 왕따였다. 수업 시간..
자세히보기 + -
넘봄
우리는 어떤 성장을 꿈꾸는 걸까?
영화 <억셉티드>(Accepted)의 주인공 ‘바틀비’는 여러 대학에 지원서를 냈지만 안전한 지망이라고 생각했던 대학에서조차 불합격 통지서를 받는다. 학교에는 바라던 대학에 합격해서 환호를 지르는 학생도 있고, 어릴 때부터 명문대만을 목표로 준비했으나 떨어진 학생도 있고, 장학금이 없어서 대학에 갈 수 없는 학생도 ..
자세히보기 + -
더봄
[2013년 네 번째 방담회]문화예술교육과 의례 경험
진행 : 나하나(공간 반반) 패널 : 김겸(김겸미술품보존연구소/건국대학교 겸임교수), 김경옥(공간 민들레 대표), 김준한(공간 민들레 길잡이 교사), 조인호(비공개무형식프로젝트그룹 CaE), 장혜윤(경기문화재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12월이면 어디에서나 1년을 정리하고 다음 해를 준비하느라 분주하지요. 문화예술교육 현장도 마찬가..
자세히보기 + -
가봄
[영상스케치] 응답하라 군포!
경기문화예술교육 웹진 지지봄봄 http://www.gbom.net/
자세히보기 + -
가봄
무한도전 예술하기
경기문화예술교육 웹진 지지봄봄 http://www.gbom.net/
자세히보기 + -
곁봄
마지막에 대한 예의
촛불과 관련한 시가 내겐 유난히 많다. 5년 전부터 우리 학교가 촛불 졸업식을 해온 까닭이다. 말하자면 그 촛불 시편들은 학교를 떠나는 졸업생들에게 바친 송가인 셈이다. 솔직히 매년 같은 주제로 시를 쓰다보니 조금은 식상하기도 했다. 하지만 재탕을 하고 싶은 유혹을 용케 이겨내고 해마다 새로운 시를 써서 낭송을 하곤 했다. 지금 생..
자세히보기 + -
곁봄
교육으로서의 의례
한때 ‘젓가락질 잘해야만 밥 잘 먹나요, 잘 못해도 서툴러도 밥 잘 먹어요’라는 노랫말이 유행한 적이 있었다. 젊은이들의 머리 스타일이나 옷차림을 보면 얼굴을 찌푸리고, 툭하면 ‘요즘 애들 예의 없다’고 혀를 차는 ‘꼰대’들을 향한 야유다. 많은 젊은이들이 속이 시원한 느낌을 받았을 것 같다. 나 ..
자세히보기 + -
곁봄
만남을 통한 배움, 그리고 그 배움을 매듭짓는 방식
‘노인 한 명이 숨을 거두는 것은 도서관 하나가 불타 사라지는 것과 같다’는 아프리카 속담이 있다. 수많은 세월을 겪어온 노인세대가 가지고 있는 삶의 경험적 지혜가 그만큼 소중하다는 뜻이다. 인류의 역사를 들여다보더라도 지식과 지혜를 전수해주는 노인세대가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왔는지 알 수 있다. 크리슨 혹스(..
자세히보기 + -
곁봄
요청된 과거 혹은 예언된 미래를 위한 자리
모든 지식의 대학 l'Université de tous les savoirs의 창시자인 이브미쇼Yves Michaud교수는 한나 아렌트의 이야기를 인용하면서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현실이라는 절박함’이 미래와 과거의 시공간들을 휩쓸어버리는, “아우라AURA가 없는 시대”가 되어가고 있으며, 그로인해 ‘요청된 과..
자세히보기 + -
곁봄
예술은 나의 힘, 의례는 나의 노래
미국 교육자 호머 레인(1876-1925)은 영국에서 리틀 커먼웰스(The Little Commonwealth)라는 소년원을 독특한 방식으로 운영한 것으로 유명하다. 1912년 영국으로 간 호머 레인은 자유와 자치를 기초로 한 교화 프로그램으로 천하의 ‘골통’들을 변화시켰다. 1918년 내무부 명령으로 문을 닫기 전까지 리틀 커먼웰스를 그렇게 운영..
자세히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