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호를 읽고 싶으신가요?
- [지지봄봄_41호] 매개를 다시 묻다
- [지지봄봄_40호] 멈춤과 도약 사이에서
- [지지봄봄_39호] 겨울의 두께
- [지지봄봄_38호] 싸움의 기술
- [지지봄봄_37호] 조난의 계절에 필요한 힘
- [지지봄봄_36호] 저마다의 속도와 리듬으로
- [지지봄봄_35.5호] 침을 뱉어라
- [지지봄봄_35호] 도구, 다정하고 날카로운
- [지지봄봄_34.5호] 공모라는 레토릭
- [지지봄봄_34호] '-다움'을 짓기 위한 상상
- [지지봄봄_33호] 더듬어가기
- [지지봄봄_32호] 생태를 바라보는 시선의 높낮이
- [지지봄봄_31호] 한 발 벗어나기
- [지지봄봄 30호] 비평의 자격과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 29호] 삶과 공간의 변화 - 앞당겨진 초연결 사회 속으로의 ㅋㄹㄴㅅㅍㅇㅅ의 모험
- [지지봄봄_28호] 《지지봄봄》 10주년, 과거와 미래 사이에서(문화예술교육과 시민력(市民力))
- 2020년 |스페셜호 - 온라인 고민공유 집담회 <고민빨래방>
- [지지봄봄_27호] 문화예술교육을 둘러싼 기준들
- [지지봄봄_26호] 누구와 무엇으로 어떻게 만날까
- [지지봄봄_25호] 쉽게 달라지지 않는 것들 사이에서 해보고 있는 것들
- [지지봄봄_24호] 문화예술교육과 연결된 사람들
- [지지봄봄_23호] 문화예술교육, 가르침에서 배움으로
- [지지봄봄_22호] 문화예술교육, 체험에서 경험으로
- [지지봄봄_21호]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 전환을 위하여
- [지지봄봄_20호] 문화예술교육의 기본을 교육예술로 묻다
- [지지봄봄_19호] 공동체에서 꽃피는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_18호] 삶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 메신저가 메시지다
- [지지봄봄_17호] 삶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_16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다시, 문화예술교육을 위하여
- [지지봄봄_15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연구자의 시선
- [지지봄봄_14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지지봄봄_13호] 그럼에도 불구하고 함께 사는 교육을 위하여
- [지지봄봄_12호] 문화예술교육과 생명
- [지지봄봄_11호] 문화예술교육과 민주주의, 지금 여기로부터
- [지지봄봄_10호] 문화예술교육의 자유
- [지지봄봄_6호] 불온(不溫)한 문화예술교육, 사랑하며 춤출 수 있는 용기
- [지지봄봄_5호] 배움의 의례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 [지지봄봄_4호] 경계에서 학교와 문화예술교육의 이념을 돌아보고 방법을 생각합니다
- [지지봄봄_3호] 문화시설이 지역구성원 모두의 창조적 공유지가 되기 위한 실천적 생각들
- [지지봄봄_2호] 문화예술교육의 장소들 곁에서 미적경험의 순간을 봅니다.
- [지지봄봄_1호] 예술가와 아이들을 춤추게 하는 문화예술교육제도
지지봄봄_3호
문화시설이 지역구성원 모두의 창조적 공유지가 되기 위한 실천적 생각들
-
가봄
공간 속에 또 다른 나를 만들어 가는 '몸과 공간놀이'
미술사(美術史)적으로 신체미술은 이전과 달리 표현과 조형의 매체로써 신체를 이용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몸을 작품의 직접적 주체로 보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1960년대 말에서 70년대 초까지 성행했던 이러한 신체미술이 문화공장 오산에서는 매주 토요일마다 아이들과 만나 ‘투닥투닥 놀이’를 하고 있었다. ..
자세히보기 + -
더봄
[2013-2방담회] 1. 토요문화학교와 문화예술교육
- 고영직(이하 ‘고’) : 《지지봄봄》 두 번째 방담을 시작하겠다. 이번호 주제는 ‘창조적 공유지로서의 문화공간’이다. 목홍균 선생님은 토요문화학교 사례를 말씀해주실 것으로 기대하고, 최현철 사무국장은 현재의 문화예술교육 제도와 무관하지만 지역 주민들의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주목받는 사례를 말씀해 주시..
자세히보기 + -
더봄
[2013-2방담회] 2. 성찰적 삶을 위한 교육예술
2. 성찰적 삶을 위한 ‘교육예술’ ― 동심천사주의를 넘자 - 월 : 토요문화학교는 사실 예술교육보다는 ‘삶의 교육’에 더 접근해보자는 측면이 강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예술을 위한 예술보다는 ‘삶을 성찰하는 예술’ 활동인 것이다. 문화공간이라는 틀이 지어져 있는 곳에서 할 때, 문화..
자세히보기 + -
더봄
[2013-2방담회] 3. 공유(共有)하는 공간은 어떻게 가능한가
3. 공유(共有)하는 공간은 어떻게 가능한가 ― 부천 담쟁이문화원의 경우 - 최현철(이하 ‘최’) : 서울에서 활동하다 부천에 갔다. 담쟁이문화원을 만든 한효석 선생님이 부천에서 30년 활동을 하고 계셨으니 지역의 유지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담쟁이문화원이 이런 곳이라고 본색을 드러내면 지역에서 자..
자세히보기 + -
더봄
[2013-2방담회] 4. 공유(共有)의 비극을 넘는 두 가지 길
4. 공유(共有)의 비극을 넘는 두 가지 길 ― ‘입금’이냐 ‘몸빵’이냐 - 고 : 경제학 용어 중 ‘공유의 비극’이라는 말이 있다. 여성 경제학자 엘리너 오스트롬이 쓴 『공유의 비극을 넘어서』라는 책은 “경제 지배구조(Economic governance) 분석을 통해 공공의 자산이 다수의 경제 주체..
자세히보기 + -
넘봄
“우리는 자원이 아니라 공유지를 지켜야 한다”
괴테의 『파우스트』(1808) 제4막에 다음과 같은 유명한 대사가 나온다. “지배권과 소유권을 회득하고 말 테다! 사업이 전부다. 명성은 무(無)야!” 악마 메피스토펠레스와 거래를 마친 파우스트 박사가 이른바 개발 사업에 전념하겠다며 각오를 다지는 장면이다. 이어진 대사에서 "r파우스트 박사는 메피스토펠레스에게 구체..
자세히보기 + -
넘봄
런던 박물관 <Our Londinium 2012>전시가 담은 “세계의 이야기”프로젝트
런던 올림픽이 한창이던 작년 여름, 런던이라는 도시의 역사와 이야기를 가장 잘 살펴 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한껏 안고 런던 박물관(Museum of London)을 찾았다. 라는 로마시대의 런던을 다룬 상설전시실로 들어서려는데, 그 입구에 라는 특별전이 한 섹션을 차지하고 있었다. 천장에 매달린 가이 포크스(Guy Fawkes)의 가면들이며 다..
자세히보기 + -
곁봄
담쟁이 문화원의 구석구석을 공유합니다
양순네 / 나하나 경기문화예술교육 웹진 지지봄봄 http://www.gbom.net/
자세히보기 + -
가봄
서로 배우고 함께 성장하는 우리학교, 수원시 평생학습관
양순네 / 나하나 경기문화예술교육 웹진 지지봄봄 http://www.gbom.net/
자세히보기 + -
곁봄
서로 배우며 함께 성장하는 배움의 환경을 만드는 수원시 평생학습관
문화예술교육은 ‘교육이 학교라는 공간에서 교사만이 할 수 있다’라는 교육에 관한 근대적 신화가 만들어낸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제안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문화예술교육은 예술적 표현기법만을 가르치는 교육이 아니라 예술적 이해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사회를 이해하는 보다 넓은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맥락 속에 위치한 교..
자세히보기 + -
곁봄
'누구의' 것 아닌 '누구나'의 공간을 꿈꾸며
강화도에 사는 함민복 시인은 뻘(갯벌) 예찬론자이다. 시인이 뻘을 예찬하는 이유는 뻘 고유의 ‘말랑말랑한 힘’을 무한 신뢰하기 때문이다. 어느 시에서 시인은 “거대한 반죽 뻘은 큰 말씀이다 / (중략) / 무엇을 만드는 법을 보여주는 게 아니라 / 함부로 만들지 않는 법을 펼쳐 보여주는 / 물컹물컹 깊은 말씀이다”..
자세히보기 + -
곁봄
시민들의 ‘제3의 장소’이기를 희망하는 미술관, 문화공장 오산
1. 인간은 집과 회사를 쳇바퀴 돌 듯 살다가 호젓한 공간에서 나만의 시간을 갖고 싶거나 마음에 맞는 사람들과 어울려 재미있는 시간을 갖고 싶어 한다. 항상은 아니지만 거의 규칙적으로 찾아가서 스트레스를 풀거나 자신의 여유를 찾는 공간을 필요로 한다. 사회학자인 레이 올든버그(Ray Oldenburg)는 그러한 공간을 가정(제1의 ..
자세히보기 + -
곁봄
공공기관 문화시설의 '창조적 공유지' 몸살 앓기
2012년 9월에 출범한 성북문화재단에는 크고 작은 문화시설이 많다. 도서관 5곳이 있고 내년 상반기에는 구청에서 민간 위탁을 한 3곳을 우리 재단이 함께 운영할 예정인 데다 신설할 도서관까지 모두 9곳이 된다. 20개 동으로 구성된 성북구에는 2개동마다 1곳씩 도서관이 있는 셈이다. 이런 도서관 기반 위에 영화관과 미디어센터, 미술관과..
자세히보기 + -
곁봄
문화시설 기반 체험교육에서의 돌봄과 창의성
한국철도박물관의 ‘너와 내가 만드는 우리 전시회’는 2013년 경기문화재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토요문화예술학교> 참여 프로그램 중 심사과정에서 가장 기대를 많이 받았던 프로그램이다. “문화소외계층의 청소년들이 박물관 학예사라는 문화생산자로서의 직업체험과 실질적인 학예업무의 경험을 통해 자긍심과 자..
자세히보기 + -
더봄
'창조적 공유지'를 상상하는 문화예술교육
지난 8월 5일, 서울시 청년일자리허브에서 '창조적 공유지를 상상하는 문화예술교육'이라는 주제로 열린 지지봄봄 두 번째 방담회는 편집위원인 고영직 문학평론가의 사회로 주제되었습니다. 문화예술교육의 '공간'과 '교육 주체'에 대한 고민, 그리고 교육과 공간의 '공유(共有)'라는 특성을 성찰해 본 두 ..
자세히보기 + -
가봄
몸으로, 마음으로 표현해보는 '예술'놀이
사진은 말하지 않습니다. 소리도 내지 않습니다. 대신 그 안에 아이들이 표현했던 ‘무언의 동작’이 담겨 있습니다. 경기도 오산시의 시립미술관 격인 ‘문화공장 오산’. 이 곳에서 아이들이 저마다의 ‘동작’에 의미를 부여하는 시간. 지난 7월 20일 지지봄봄 취재팀은 오산문화재단에서 주최하는 꿈다락 ..
자세히보기 + -
가봄
너와 내가 만드는 우리 전시회
따가운 햇살이 내리쬐던 7월의 어느 날, 경기도 의왕에 위치한 <철도박물관>에 다녀왔습니다. 철도박물관에서는 지난 3월부터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었는데요, 이날은 약 5개월간 활동의 결과로 아이들이 스스로 만든 전시회가 진행되었습니다. 그동안 이 수업에 참여한 아이들은 전시를 기획하기 위한 사전조사..
자세히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