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호를 읽고 싶으신가요?
- [지지봄봄_41호] 매개를 다시 묻다
- [지지봄봄_40호] 멈춤과 도약 사이에서
- [지지봄봄_39호] 겨울의 두께
- [지지봄봄_38호] 싸움의 기술
- [지지봄봄_37호] 조난의 계절에 필요한 힘
- [지지봄봄_36호] 저마다의 속도와 리듬으로
- [지지봄봄_35.5호] 침을 뱉어라
- [지지봄봄_35호] 도구, 다정하고 날카로운
- [지지봄봄_34.5호] 공모라는 레토릭
- [지지봄봄_34호] '-다움'을 짓기 위한 상상
- [지지봄봄_33호] 더듬어가기
- [지지봄봄_32호] 생태를 바라보는 시선의 높낮이
- [지지봄봄_31호] 한 발 벗어나기
- [지지봄봄 30호] 비평의 자격과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 29호] 삶과 공간의 변화 - 앞당겨진 초연결 사회 속으로의 ㅋㄹㄴㅅㅍㅇㅅ의 모험
- [지지봄봄_28호] 《지지봄봄》 10주년, 과거와 미래 사이에서(문화예술교육과 시민력(市民力))
- 2020년 |스페셜호 - 온라인 고민공유 집담회 <고민빨래방>
- [지지봄봄_27호] 문화예술교육을 둘러싼 기준들
- [지지봄봄_26호] 누구와 무엇으로 어떻게 만날까
- [지지봄봄_25호] 쉽게 달라지지 않는 것들 사이에서 해보고 있는 것들
- [지지봄봄_24호] 문화예술교육과 연결된 사람들
- [지지봄봄_23호] 문화예술교육, 가르침에서 배움으로
- [지지봄봄_22호] 문화예술교육, 체험에서 경험으로
- [지지봄봄_21호]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 전환을 위하여
- [지지봄봄_20호] 문화예술교육의 기본을 교육예술로 묻다
- [지지봄봄_19호] 공동체에서 꽃피는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_18호] 삶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 메신저가 메시지다
- [지지봄봄_17호] 삶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_16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다시, 문화예술교육을 위하여
- [지지봄봄_15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연구자의 시선
- [지지봄봄_14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지지봄봄_13호] 그럼에도 불구하고 함께 사는 교육을 위하여
- [지지봄봄_12호] 문화예술교육과 생명
- [지지봄봄_11호] 문화예술교육과 민주주의, 지금 여기로부터
- [지지봄봄_10호] 문화예술교육의 자유
- [지지봄봄_6호] 불온(不溫)한 문화예술교육, 사랑하며 춤출 수 있는 용기
- [지지봄봄_5호] 배움의 의례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 [지지봄봄_4호] 경계에서 학교와 문화예술교육의 이념을 돌아보고 방법을 생각합니다
- [지지봄봄_3호] 문화시설이 지역구성원 모두의 창조적 공유지가 되기 위한 실천적 생각들
- [지지봄봄_2호] 문화예술교육의 장소들 곁에서 미적경험의 순간을 봅니다.
- [지지봄봄_1호] 예술가와 아이들을 춤추게 하는 문화예술교육제도
지지봄봄 29호
삶과 공간의 변화 - 앞당겨진 초연결 사회 속으로의 ㅋㄹㄴㅅㅍㅇㅅ의 모험
-
곁봄
강제로 앞당겨진 초연결사회 속으로의 ㅋㄹㄴ ㅅㅍㅇㅅ 의 모험
* 최재천 필자외 5명, [코로나사피엔스](인플루엔셜출판사 2020.6)의 제목 초성활용줄임말 ‘비대면 문화예술교육은 어떻게 가능할까?’라는 물음은 2020년 코로나19와 함께 본격화된 질문이고, 또 2021년을 맞이하면서도 뇌리에 콕 박혀버린 한계점이다. 전 지구적인 팬데믹 상황은 인류 전체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
자세히보기 + -
더봄
키드득 - 유아에게서 깨닫다
일시 : 2020. 11. 16(월) 방식 : 유튜브, 줌 화상플랫폼 이원화 현장 송출 주제 : 예술가와 유아가 만나는 순간 함께한 사람들 : 2020 경기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운영기관 7곳 행정가·예술가 16명, 예정원(독립기획자), 조재경(고무신학교 대표), 원혜정(경기센터 유아사업담당자) [<세가지굴레> 영상 속 장면]..
자세히보기 + -
곁봄
열린 마음으로 세상 읽기
“이 책을 봐도 될까요?” 나누미촉각연구소 한쪽에 자리한 나무 선반 위에는 촉각도서가 비치되어 있다. 촉각도서를 직접 보고 싶은 사람들은 이곳을 방문해 정보를 얻어 가는데, 선뜻 책을 꺼내지 못하고 던지는 질문에 “네 만져보셔도 돼요.”라고 답을 한다. 촉각도서는 앞이 보이지 않는 아이들을 위해 제작된, 손..
자세히보기 + -
곁봄
모름을 따라가는 문화예술교육
그림 . 2018-2019년 ‘에코 오롯’에서 진행한 산호뜨개 작품의 예이다. 산호뜨개는 꼬불꼬불하게 뜬다는 원칙은 있지만, 규칙이나 패턴이 없는 열린 방식의 커뮤니티 뜨개 방식이다. 제주와 서울에서 500여명의 시민들이 함께 했다. 모름을 따라가는 문화예술교육: “IN CASE OF EMERGENCY, BREAK DANCE” &ld..
자세히보기 + -
곁봄
코로나 19 팬데믹 시대, 혼란과 마주한 실험
글을 마무리하는 시점에 국내 코로나 일일 신규 확진자 수가 1000명을 넘었다는 기사를 확인했다. 예상하지 못한 팬데믹 시간이 길어지고 있다. 코로나의 시작과 확산 규모는 매일 누적되는 데이터를 통해 알 수 있고, 전 지구적으로 모두가 함께 직면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언제 끝날지 모르는 예측 불가능한 상황은 우리가 경험하지 못했던 ..
자세히보기 + -
곁봄
로컬-되기
코로나19가 야기한 삶의 변화 정도와 속도는 크고 빠르고 직접적이다. 지리적 위치나 사회적 계층에 상관없이 모두 코로나 사태의 영향권 아래 있는데 문화예술계 역시 마찬가지이다. 공간과 무대가 필요한 많은 전시 및 공연이 취소되거나 기약 없이 연기되었다. 전시의 경우 소규모 공간은 제한적으로나마 운영을 하는 경우가 있었지만, 일..
자세히보기 + -
곁봄
‘공간’, 그 경계를 넘어 ‘공존’으로
(흘곶마을 바다 풍경, 사진출처 양쿠라.2020) 바닷가 시골 작업실 나의 작업실은 경기도 대부도 서쪽 끝에 위치한 흘곶마을이다. 이 마을은 근래 보기 드문 서로 공생하는 지역이다. 어촌계를 중심으로 갯벌체험을 통한 수익을 나누고 관리하며, 주민 모두가 함께 가꾸어 나간다. 도심에서는 쉽게 상상할 수 없는 커뮤니티를 만들어가고 ..
자세히보기 + -
곁봄
[예술가시점] 현실학교? 미래학교? 구해줘 학교!
WWW(World Wide Web)은 1989년에 개발된 이후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 사용자를 거미줄처럼 연결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하였다. 이 새로운 공간은 이제 사람과 사람뿐만 아니라 사람과 사물 그리고 사물과 사물까지도 연결해 소통할 수 있게 그 영역을 확장시켜 왔다. 최근 IoT(사물인터넷), SNS(사회적 관계망 서비스), IT(정보기술) 등..
자세히보기 + -
곁봄
[건축가 시점] 마주보는 배려가 필요해요, “구해줘, 학교!”
구해줘! 학교 학교는 우리 사회의 미래를 만들어갈 아이들의 공간이다. 뿐만 아니라 배움이 있는 곳에 학교라는 의미를 부여한다 했을 때, 교육과 연관된 공간까지 학교라는 테마로 넓혀서 생각할 수 있다. 경기문화재단과 함께한 문화예술교육 공간을 만드는 ‘구해줘! 학교’ 작업을 통해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일상적 공간의 학..
자세히보기 + -
가봄
눈에 보이지 않는 것들의 가치를 찾아서, 깊은생각교육
‘깊은생각교육’이라는 단체에 대한 간단한 소개 부탁드린다. ‘깊은생각교육’은 교육프로그램을 연구하는 모임이다. 교육 행위 전반에 대한 기획력과 통찰력을 겸비한 박병호 대표, 세 자녀의 양육 경험과 세심한 배려와 이해를 바탕으로 메이커 교육 현장에서 ‘격려자 멘토’ 모델을 만든 김선경 선생님,..
자세히보기 + -
가봄
손으로 채워가는 소소한 일상, 예술작업실 도란
‘예술작업실 도란’에 대한 소개를 부탁드린다. 2017년도부터 ‘예술작업실 도란’이라는 단체를 만들어서 다른 작업하시는 분들과 같이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시각예술기반으로 콘텐츠를 만들어내고 있고 저희가 하고 싶은, 내가 어린이면 해보고 싶을 것 같은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을 좋아하는 단체이다. 어떻게 문..
자세히보기 + -
가봄
마음의 움직임을 찾는 사람들, 이미지헌터빌리지
마음이 움직이는 모습을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우리의 마음이 움직였던 흔적들을 누군가는 글귀로, 누군가는 단편의 기억들로 간직한다. 마음이 움직인 흔적들을 찾는 이미지 사냥꾼들이 사는 마을이 있다. ‘이미지헌터빌리지’의 마임이스트 윤푸빗을 만났다. ‘이미지헌터빌리지’라는 이름이 특이하다. 단체의..
자세히보기 + -
넘봄
<상상창고 숨> 예술로 사람과 사람, 사람과 시간, 사람과 공간을 잇다
해안마을은 앞으로 바다가 보이고 뒤로는 한라산이 보이는 경치가 좋은 마을이다. 그래서 최근 몇 년 동안 제주도 이주 열풍이 불 때 많은 외지인이 해안마을에 자리를 잡았다. 조상 대대로 그곳에서 살아온 사람과 새로 이사를 온 사람 사이에 틈이 있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 서로 다른 문화 속에서 지낸 세월이 길기 때문이다. 다행히 ..
자세히보기 + -
넘봄
『자연에서 노는 아이』 우린 이렇게 읽었어요
#자연에서 노는 아이 / 고무신. 구지원 글 / 정다운 그림 옛사람들은 책 속에 길이 있다고 했다. 책은 사물(종이)과 글자(텍스트)가 만나 새로운 길로 우리를 들어가게 한다. ‘나에게 책은 읽는 것이 아닌 들고 다니는 것이었다. 교과서도 마찬가지였다.’라고 말하는 이가 있다. 그는 있어 보이려 책을 들고 다니다 군생활 동..
자세히보기 + -
넘봄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들의 불안을 확인하고 보듬어주는 이야기 "노멀피플"
“개천에서 용 난다.” 더 이상 이 말에 공감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성공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능력과 무관하게 여러 조건이 필요한 시대가 되었고 필연적으로 실패를 피할 수 없게 된 청년들은 쉴 새 없이 좌절과 한계에 부딪히며 무너지고 있다. 능력과 노력만으로는 성공할 수 없다는 박탈감과 허무함은 마침내 포기로 ..
자세히보기 + -
넘봄
경계를 넘어 새로운 세상을 꿈꾸다-『레오나르도 2빈치』에 대한 몇 가지 생각
2020년, 지구인들은 영화에서나 볼 법한 세상을 살았다. 몇 달이면 끝나겠지 했던 생활이 1년이 다 되어 간다. 아이들은 학교에 가질 못하고 친구나 가족끼리 마음껏 악수를 하지도 껴안지도 못한다. 길을 가다가도 마스크를 쓰지 않은 누군가가 맞은편에서 걸어오면 슬그머니 방향을 돌리기 일쑤다. “뭉치면 죽고 흩어지면 산다”..
자세히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