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호를 읽고 싶으신가요?
- [지지봄봄_41호] 매개를 다시 묻다
- [지지봄봄_40호] 멈춤과 도약 사이에서
- [지지봄봄_39호] 겨울의 두께
- [지지봄봄_38호] 싸움의 기술
- [지지봄봄_37호] 조난의 계절에 필요한 힘
- [지지봄봄_36호] 저마다의 속도와 리듬으로
- [지지봄봄_35.5호] 침을 뱉어라
- [지지봄봄_35호] 도구, 다정하고 날카로운
- [지지봄봄_34.5호] 공모라는 레토릭
- [지지봄봄_34호] '-다움'을 짓기 위한 상상
- [지지봄봄_33호] 더듬어가기
- [지지봄봄_32호] 생태를 바라보는 시선의 높낮이
- [지지봄봄_31호] 한 발 벗어나기
- [지지봄봄 30호] 비평의 자격과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 29호] 삶과 공간의 변화 - 앞당겨진 초연결 사회 속으로의 ㅋㄹㄴㅅㅍㅇㅅ의 모험
- [지지봄봄_28호] 《지지봄봄》 10주년, 과거와 미래 사이에서(문화예술교육과 시민력(市民力))
- 2020년 |스페셜호 - 온라인 고민공유 집담회 <고민빨래방>
- [지지봄봄_27호] 문화예술교육을 둘러싼 기준들
- [지지봄봄_26호] 누구와 무엇으로 어떻게 만날까
- [지지봄봄_25호] 쉽게 달라지지 않는 것들 사이에서 해보고 있는 것들
- [지지봄봄_24호] 문화예술교육과 연결된 사람들
- [지지봄봄_23호] 문화예술교육, 가르침에서 배움으로
- [지지봄봄_22호] 문화예술교육, 체험에서 경험으로
- [지지봄봄_21호]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 전환을 위하여
- [지지봄봄_20호] 문화예술교육의 기본을 교육예술로 묻다
- [지지봄봄_19호] 공동체에서 꽃피는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_18호] 삶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 메신저가 메시지다
- [지지봄봄_17호] 삶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_16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다시, 문화예술교육을 위하여
- [지지봄봄_15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연구자의 시선
- [지지봄봄_14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지지봄봄_13호] 그럼에도 불구하고 함께 사는 교육을 위하여
- [지지봄봄_12호] 문화예술교육과 생명
- [지지봄봄_11호] 문화예술교육과 민주주의, 지금 여기로부터
- [지지봄봄_10호] 문화예술교육의 자유
- [지지봄봄_6호] 불온(不溫)한 문화예술교육, 사랑하며 춤출 수 있는 용기
- [지지봄봄_5호] 배움의 의례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 [지지봄봄_4호] 경계에서 학교와 문화예술교육의 이념을 돌아보고 방법을 생각합니다
- [지지봄봄_3호] 문화시설이 지역구성원 모두의 창조적 공유지가 되기 위한 실천적 생각들
- [지지봄봄_2호] 문화예술교육의 장소들 곁에서 미적경험의 순간을 봅니다.
- [지지봄봄_1호] 예술가와 아이들을 춤추게 하는 문화예술교육제도
지지봄봄 30호
비평의 자격과 문화예술교육
-
곁봄
지지봄봄에게 제안하다
《지지봄봄》 30호다. ‘30’이라는 숫자를 해로 따지자면 2012년에 첫 호가 발행되었으니 올해로 10년이다. 처음 가는 마을에 들어설 때에 나의 마음은 어렴풋이 두근거린다 (중략) 이바리기 노리코의 시 <처음 가는 마을>의 첫 구절 같았다. 《지지봄봄》을 처음 시작할 때 말이다. 한 광역단위 문화예술교육지..
자세히보기 + -
더봄
비평 웹진을 만드는 사람들 – ① 비평을 대하는 세 개의 시선
비평 웹진을 만드는 사람들 지지봄봄 30호는 ‘지지봄봄’과 문화예술교육 비평에 관한 질문으로 시작됩니다. 비평은 현장에 어떤 영향을 끼쳐야 하는가? 현장의 활동, 고민을 여러 맥락으로 읽어주는 것, 문제의식의 공유, 학습과 성장의 매개적 사건이자 자료, 아마도 이러한 것들 일 텐데, 잘하고 있는지, 문화예술교육 비평지..
자세히보기 + -
더봄
비평 웹진을 만드는 사람들 - ② 비평의 문법을 벗어나다
비평 웹진을 만드는 사람들 ② 비평의 문법을 벗어나다 <음악비평동인 ‘헤테로포니’, 성혜인> 내가 하고자 하는 이야기와 언어를 위한 지면을 스스로 만들다 - 임재춘(이하 임) : 공공재단의 웹진들은 암묵적으로 문화정책이나 예술정책 안에서 그 문화를 건드려야 하는 공공적 윤리 같은 사명감이 ..
자세히보기 + -
더봄
비평 웹진을 만드는 사람들 - ③ 완성된 문장이 아닌 ‘과정’ 일 순 없을까
비평 웹진을 만드는 사람들 ③ 완성된 문장이 아닌 ‘과정’ 일 순 없을까 <전통예술 웹진 공진단, 이리> - 이리 : 저는 공공기관이 말하고 싶은 곳이 아니라, 질문하고 듣는 곳이었으면 좋겠어요. 그래서 여러 시도를 하고 있고, 올해는 더욱 많은 시도를 하려고 준비 중입니다. 그런데 기관의 과업이라는 ..
자세히보기 + -
더봄
비평 웹진을 만드는 사람들 - ④ 비평 플랫폼의 역할은 무엇이어야 할까
비평 웹진을 만드는 사람들 ④ 비평 플랫폼의 역할은 무엇이어야 할까 불가능한 상상이 가능하다는 걸 보여주고, 금기시되어 오거나 안 된다고 생각했던 것들에 대해 “진짜 그래?” 질문을 던지고, 구체적인 움직임을 이끌어내는 것 - 장은정(문학평론가) : 사실 《비유》는 비평 전문 웹진이라는 것을 내세우고 있지..
자세히보기 + -
곁봄
수업비평은 자기형성을 위한 교사의 의무
수업비평은 자기형성을 위한 교사의 의무 나는 수업하는 것이 직업인 교사다. 나는 수업을 통해 학생들과 만나면서 내가 했던 수업의 좌절과 걱정을 주제로 삼아 부단히 교사로서 나의 삶을 재구성함과 동시에 수업의 변화를 꾀한다. 그 중심에 수업 비평이 있다. 수업비평은 교사인 내가 지금 어디에 있는지를 살피고 어떤 방식으로 ..
자세히보기 + -
곁봄
나의 비평 웹진(들) 사용기
1. 들어가며 나는 2016년 11월 25일에 음악 웹진 [weiv]에서 「이랑이라는 무언가」라는 제목의 글을 발표했고, 그 이후로 계속 동시대 대중음악과 대중음악 비평에 대한 글을 쓰고 있다. 그런데 5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나는 이 글이 '정말로' 나의 비평 데뷔작이라고 할 수 있는지를, 그리고 내가 '정말로' 대중음악 비평..
자세히보기 + -
곁봄
지지봄봄 설문조사 해석, 정리
설문 일시 : 총 15일간 진행 (2020.11.13.(금)~2020.11.25(수)) 설문 참여 : 1,046명 참여 (지지봄봄 구독자 수 2,640명) 하나의 웹진이 지속될 수 있도록 만드는 사람들은 누구일까. 웹진을 만드는 사람, 웹진에 기고를 하거나 운영에 참여한 사람들, 애정을 가지고 지켜본 사람들이다. 지지봄봄 10주년을 맞아 독자들은 어떤 관심, ..
자세히보기 + -
곁봄
일상생활과 기록
1. 프레드 이야기 일상생활과 기록에 대해 말하기 위해, 한 편의 이야기로 시작해본다. 농부들이 떠난 늦가을 들판에 일단의 들쥐들이 나타났다. 들쥐들은 빠르게 들판을 장악해나가며 떨어져 있는 알곡과 열매와 볏짚을 주웠다. 알곡과 열매와 볏짚이 쌓여가는 즐거움으로 일하는 것이 힘든 줄도 몰랐다. 이런 상식적인 들쥐들 주변에 애..
자세히보기 + -
가봄
지식은 동사다 - 느티나무 도서관이 지식을 대하는 태도
최근 몇 년 사이, 문화예술교육에서 기록과 아카이브를 강조하는 분위기가 두드러졌다. ‘과정 중심’이라는, 그리고 그런 과정으로서의 시간을 보내고 난 뒤, 다양하게 정의하고 부여할 수 있는 의미의 ‘결과’를 촉진하는 트랙으로서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의미는 알겠는데, 실제로 기록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다수의..
자세히보기 + -
곁봄
콜렉티브의 가능성, 콜렉티브 러닝
공존이라는 실천, 돌봄 '위드(with) 코로나' 시대. 전환적인 상상을 해야 한다는 책임감이 자리 잡는 사이에 일 년이라는 시간은 지나갔다. 도시화가 극심한 지역에 살면서 기후 우울감을 느끼며 코로나 확진자 수를 발표하는 오전 뉴스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일상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2020년 끄트머리, 한파가 불어 닥친 ..
자세히보기 + -
곁봄
비영리 활동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싶다면, 오픈 라이선스로 지식과 경험을 확대하라!
1992년에 태어난 나는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의 팽창 그리고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한복판에서 태어났다. 대량생산과 대량소비에 익숙하고, 대부분의 가치는 ‘돈’으로 매겨지며, 성공한 사람은 ‘부자’이고, 그 부자가 되기 위해 일인자가 되어야 하는 경쟁 사회에서 자랐다. 하지만 한쪽으로 치우친 사회에는 늘 의문이 ..
자세히보기 + -
넘봄
'랩걸' - 우정의 공동체를 위하여
『랩걸』 서평 ‘우정의 공동체를 위하여’ 일터이자 놀이터 여우(여기·우리)책방 여우책방협동조합은 올해 개업 6년차를 맞는다. 책방은 낮시간 공간이 비는 별주막에 세 들어 숍인숍 형태로 책과 차 등을 판매하며 각종 모임과 행사를 연다. 에코페미니즘을 중심가치로 삼고 여성주의 외에도 공동체, 환경, 대안..
자세히보기 + -
넘봄
당신의 '장국영'은 안녕하십니까?
예술이, 문화가 만만하고 편했으면 좋겠다는 마음, 숨 쉬듯 밥 먹듯 일상이 예술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시작한 문화기획. 거대한 구조 속에서 화려함이 수반되지 않더라도, 예술이 사람만으로도, 마음만으로도, 간혹 발휘되는 재기발랄함만으로도 충분히 즐겁고 유쾌하고 황홀할 수 있을 거라 확신했다. 그 과정에서 나의 존재에 대한..
자세히보기 + -
넘봄
회색도시에서의 녹색이념
‘아줌마? NO, 요양보호사. 국가 자격 취득한 전문가. 돌봄 필요해?…’ 어느 날 TV에서 들려오던 광고의 노랫말이다. 오나라 배우님이 랩을 뱉으며 ‘요양보호사’라는 직함의 중요성을 말하는 공익광고였다. 몇 분이 채 지나지 않아 한 개의 광고가 더 나오기 시작했다. ‘TWENTY, TWENTY, 20도, 너도 나도 ..
자세히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