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검색어 “”에 대해 총 1821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웹진 (총 491건)
-
[가봄] 손으로 채워가는 소소한 일상, 예술작업실 도란
‘예술작업실 도란’에 대한 소개를 부탁드린다. 2017년도부터 ‘예술작업실 도란’이라는 단체를 만들어서 다른 작업하시는 분들과 같이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시각예술기반으로 콘텐츠를 만들어내고 있고 저희가 하고 싶은, 내가 어린이면 해보고 싶을 것 같은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을 좋아하는 단…
-
[가봄] 마음의 움직임을 찾는 사람들, 이미지헌터빌리지
마음이 움직이는 모습을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우리의 마음이 움직였던 흔적들을 누군가는 글귀로, 누군가는 단편의 기억들로 간직한다. 마음이 움직인 흔적들을 찾는 이미지 사냥꾼들이 사는 마을이 있다. ‘이미지헌터빌리지’의 마임이스트 윤푸빗을 만났다. ‘이미지헌터빌리지’라는 이름…
-
[넘봄] <상상창고 숨> 예술로 사람과 사람, 사람과 시간, 사람과 공간을 잇다
해안마을은 앞으로 바다가 보이고 뒤로는 한라산이 보이는 경치가 좋은 마을이다. 그래서 최근 몇 년 동안 제주도 이주 열풍이 불 때 많은 외지인이 해안마을에 자리를 잡았다. 조상 대대로 그곳에서 살아온 사람과 새로 이사를 온 사람 사이에 틈이 있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 서로 다른 문화 속에서 지낸 세월이 길…
-
[넘봄] 『자연에서 노는 아이』 우린 이렇게 읽었어요
#자연에서 노는 아이 / 고무신. 구지원 글 / 정다운 그림 옛사람들은 책 속에 길이 있다고 했다. 책은 사물(종이)과 글자(텍스트)가 만나 새로운 길로 우리를 들어가게 한다. ‘나에게 책은 읽는 것이 아닌 들고 다니는 것이었다. 교과서도 마찬가지였다.’라고 말하는 이가 있다. 그는 있어 보이려 책을 들…
-
[넘봄]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들의 불안을 확인하고 보듬어주는 이야기 "노멀피플"
“개천에서 용 난다.” 더 이상 이 말에 공감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성공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능력과 무관하게 여러 조건이 필요한 시대가 되었고 필연적으로 실패를 피할 수 없게 된 청년들은 쉴 새 없이 좌절과 한계에 부딪히며 무너지고 있다. 능력과 노력만으로는 성공할 수 없다는 박탈감과 허무…
-
[넘봄] 경계를 넘어 새로운 세상을 꿈꾸다-『레오나르도 2빈치』에 대한 몇 가지 생각
2020년, 지구인들은 영화에서나 볼 법한 세상을 살았다. 몇 달이면 끝나겠지 했던 생활이 1년이 다 되어 간다. 아이들은 학교에 가질 못하고 친구나 가족끼리 마음껏 악수를 하지도 껴안지도 못한다. 길을 가다가도 마스크를 쓰지 않은 누군가가 맞은편에서 걸어오면 슬그머니 방향을 돌리기 일쑤다. “뭉치면 죽고 …
-
[곁봄] 문화예술교육과 시민력(市民力)
2021년이면 웹진 《지지봄봄》이 창간 십 주년을 맞는다. 창간 당시 강원재·김경옥·박형주 제씨들과 편집위원회를 구성해 활동하면서 느낀 것은 경기 지역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활동하는예술교육자 또는 예술(교육)단체들은 자신의 역량에 대한 객관적인 ‘크리틱(critic)’을 절실히 원하고 있…
-
[더봄] 지지봄봄 10년, 갈 길이 멀다 - 첫 번째 주제 "지지봄봄, 과거를 돌아보며"
일시 : 2020. 10. 6(화) 프로그램 : 모두 토론 방식 : 유튜브, 줌 화상회의 이원화 현장 송출 주제 : 1) 지지봄봄 10년, 과거를 돌아보며 2) 코로나19 팬데믹 상황과 교육현장 3) 문화예술교육과 시민력 4) 야생성 살리는 교육 함께한 사람들 : 고영직(문학평론가), 김경옥(대안교육공간 …
-
[더봄] 지지봄봄 10년, 갈 길이 멀다 - #두번째 주제 “코로나19 팬데믹 상황과 교육현장”
고영직 : 아까 김경옥 선생님께서, 굉장히 큰 이야기를 해주셨어요. 우리가 잘 산다는 것은 무엇인가. 이런 얘기를 해주셨는데요. 우리 옛날이야기에 모든 결론이 잘 먹고 잘 살았더라. 이렇게 끝나잖아요. 근데 그 얘기는 뒤집어 보면, 대부분의 민중들은 잘 먹지도 못했고, 잘 살지도 못했다는 이야기의 반증이라고 할 …
-
[더봄] 지지봄봄 10년, 갈 길이 멀다 - #세 번째 주제 “문화예술교육과 시민력”
고영직 : 최근에 넷플릭스에서 공개한 다큐멘터리 영화를 하나 봤어요. <소셜 딜레마>라는 영화를 봤는데, 이 영화를 보면서, 문화예술 교육의 역할이 참 중요하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문화예술교육이 정책적으로 20년 가까이 시행되었지만 과연 시민력을 형성하고 강화하고 있는가에 대해서 생각해볼 지점이 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