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검색어 “”에 대해 총 1821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웹진 (총 491건)
-
[더봄] 지지봄봄 10년, 갈 길이 멀다 - 네번째 주제 "야생성 살리는 교육"
고영직 : 결국 오늘의 이야기가, 야성성이라는 키워드로, 모아지는 거 같아요. 작은 냇물에서 출발한 물들이 큰 바다에 모아지는 것처럼, 이 야생성이라는 것을 어떻게 살릴 것인가? 이런 차원에서 논의를 해보면 좋겠습니다. 박형주 선생님께서 먼저 포문을 열어주시면 고맙겠는데요, 아까 내 곁을 지키는 문화예술 교육…
-
[가봄] <남양주 호평중학교> 협동으로 연결된 배움의 공동체의 혁신은 위기 앞에서 멈추지 않는다
호평중학교는 경기도 최초의 혁신학교로 2009년 지정되어, 그간 지역사회로 열린 배움의 공동체 철학과 운동에 기반한 수업과 공간, 의례 등 학교 전반의 혁신으로 새로운 공교육의 모델이 되고 있다. 《지지봄봄》에서는 2013년 호평중학교를 방문해 당시 이승곤 미술교사(이후 호평중학교의 2대 공모제 교장으로 역임했…
-
[가봄] 만나면 꽃이 핀다
렐프(Relph, 1976)는 일상생활을 경험하는 의미 깊은 중심으로 ‘장소’를 보았다. 장소에 대한 이미지는 추상적이거나 개념화를 통해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특정 환경에 대한 개인의 경험과 의도로 형성된다고 했다. 당연하다. 생활 세계의 직접적 경험은 오직 장소에서 이루어지며, 마을이라는 장소는 관계와 …
-
[가봄] 다시 마을로, 다시 이웃으로.....!
2년 전, 친구 녀석 하나가 서울의 삶을 버렸다. 딱히 뭐 삶이 팍팍하다거나 도시에 염증을 느껴서 그런 선택을 한 것은 아니었다. 그냥저냥 소소한 통신회사의 이사 직책을 맡고 있었던 녀석은 딱히 큰 재산이라 내세울 것 없는 삶이었지만, 아이 둘을 키우며 도시에서의 생활을 그다지 부족하지 않게 지낼만한 여력이 있…
-
[가봄] 리모델링의 '작은 역사' 마을인문학공동체의 십 년
1. 벽을 허물고, 배치를 바꾸고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 875-2 2층의 50평쯤 되는, 이 공간의 이름은 ‘문탁네트워크’(이하 ‘문탁’)이다. 다세대주택 2층에 자리한 문탁은 2010년 보습학원이 나간 자리에 ‘마을인문학공동체’라는 다소 애매모호한 정체성을 띠고 활동을 시작했…
-
[곁봄] 고삐 푸는 야생성, 고삐를 쥔 존재
2014년 7월, 《지지봄봄》 담당자로서 크리스 메르코글리아노를 만났다. ‘2014년의 크리스 메르코글리아노’의 이야기가 ‘2020년의 나’의 삶에는 어떠한 의미로 발화했을까. 크리스 메르코글리아노의 강연 이야기와 나의 두달예술학교 이야기를 통해서, 지금 이곳을 살아가는 우리들의 ‘야생…
-
[곁봄] 농부와 시인은 어떻게 연대할 것인가
농부와 시인에게 공통으로 닥친 위기 밤을 딴다. 올해는 밤도 졌다. 해마다 추석 즈음이면 집 뒤쪽 밭으로 떨어진 밤을 줍는데, 올해는 주워도 주워도 무슨 밤이 죄다 벌레 먹어 성한 게 하나도 없다. 내가 사는 강원도 내륙 산촌 마을은 겨울평균 기온이 신의주하고 비슷하다는 곳이다. 겨울이면 꽁꽁 언 강을 걸어서 …
-
[곁봄] 무형식의 배움, 창의를 기른다
# 창의성 일반적으로 창의성을 말할 때 ‘전략적·분석적·논리적 사고체계(strategy)’와 ‘아이디어 사고체계’(creative)로 나누어 설명한다. 흔히 우리들은 창의성 교육을 기발한 ‘아이디어 창출 기법’ 정도로 생각하거나 독특한 능력을 가진 몇몇의 개인만이 가질 …
-
[곁봄] 온택트 시대의 문화예술교육, 그리고 시민력
낯선 지금 낯설다. 마스크는 이제 어느 새 의복의 하나처럼 되어버렸다.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으면 (공연음란죄는 아니지만) 법에 따라 벌금이나 과태료를 물게 된다. 일상의 재충전을 위한 여행도 이제는 낯설다. 비밀 여행족 1) 이라는 말도 생겨났다. 여행을 가서도 안 되지만 만약 갔다 왔더라도 자랑을 하거나 …
-
[곁봄] 동북권역 마을배움터는 힘이 세다
글 제목이 다소 강렬한 듯하지만 물리적 힘이나 권력의 힘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동북권역 마을배움터(이하 마을배움터)가 힘이 세다라는 의미는 일시적이고 파편적 요구나 기대에 흔들리지 않으려는 내적 힘을 뜻하는 것이기도 하다. 전환의 시대, 뉴노멀(New normal)을 외치며 발빠른 대응과 대처를 하고 있지만 이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