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검색어 “”에 대해 총 1821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웹진 (총 491건)
-
[표류기] 공간이 경험을 매개할 때: 데이터와 관찰로 만든 새로운 풍경
지지봄봄 41호 -매개를 다시 묻다 표류기 공간이 경험을 매개할 때: 데이터와 관찰로 만든 새로운 풍경 김정민 (제3의 시간 도서관 관장, 도서문화재단 씨앗 콘텐츠 랩 실장) 휴대전화에 빠져있던 이용자들이 책을 집어 들고 숙제만 하던 이용자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쓰기 시작하고 게임에 몰두하던…
-
[표류기] 공간 ‘활성화’를 둘러싼 오해와 변명
지지봄봄 41호 -매개를 다시 묻다 표류기 공간 ‘활성화’를 둘러싼 오해와 변명 오레오 공공 문화재단에서 문화 기획과 예술 행정, 공간과 콘텐츠가 만나는 접점에서 꽤 오래 일해온 필자로서는 밑도 끝도 없이 불쑥불쑥 나오는 ‘공간 활성화’ 얘기만 들어도 혈압이 오르고 짜…
-
[기술너머] 키푸와 코드, 기술을 매개하기
지지봄봄 41호 -매개를 다시 묻다 기술너머 키푸와 코드, 기술을 매개하기 전유진(여성을 위한 열린 기술랩) 키푸(Quipu)는 끈과 매듭을 사용한 고대 잉카 문명의 의사소통 체계이다. 가장 오래된 키푸는 약 5,000년 전의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잉카 제국은 문자 언어가 없었지만, 키푸를 사용해 다…
-
[언어들] 매개란 ‘관계맺기를 통한 의미로움’을 만들어 내는 것
지지봄봄 41호 -매개를 다시 묻다 언어들 매개란 ‘관계맺기를 통한 의미로움’을 만들어 내는 것 : 직무가 아닌 오롯한 가치지향으로서 ‘매개’를 바라보기 최보연(문화정책연구자/상지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조교수) 들어가며 지난 8월 말, <지지봄봄>에서 ‘매…
-
[지금우리는] 노는 예술 3년 차, 현장을 통한 내 삶의 변화
지지봄봄 41호 -매개를 다시 묻다 지금 우리는 노는 예술 3년 차, 현장을 통한 내 삶의 변화 윤가연(프로젝트 곳곳) “노세 노세 젊어서 놀아.” “신명 나게 놀아봄세.” “푸지게 놀아보자.” 욕마저 “놀고 있다.”고 표현하는 대한민국에서 <노는 …
-
[프롤로그] 질문이 생기면 찾아가는 공유서재, 지지봄봄
지지봄봄 40호 -멈춤과 도약 사이에서 프롤로그 질문이 생기면 찾아가는 공유서재, <지지봄봄> 유다원(플러스마이너스일도씨) ‘기획’이라는 낯설고 생경한 영역에서 활동을 시작하고 무엇 하나 쉽지 않았다. 하나부터 열까지 미궁 속을 걷는 기분이었다. 모든 것이 어려웠지만 그중 …
-
[느긋한우정] 독자 좌담회_공격적이고 적극적인 지지봄봄이 될 수 있을까?
<지지봄봄> 40호 -멈춤과 도약 사이에서 현장이 사랑한 현장 독자 좌담회_공격적이고 적극적인 <지지봄봄>이 될 수 있을까? 좌담회 참여 : 고소희(하남문화재단), 신지은(문화플랫폼 열무) 좌담회 진행 : 이충현(조금다른 주식회사) Q1. 안녕하세요, 소개 부탁드립니다. 지은 저는…
-
[표류기] 예술교육 비평 웹진으로 살아남기(담당자 편)
지지봄봄 40호 -멈춤과 도약 사이에서 표류기 예술교육 비평 웹진으로 살아남기(담당자 편) 최나윤 (<지지봄봄> 담당자) 2024년 첫 호의 글을 담당자인 내가 쓰다니. 과분하다 못해 부담스럽다. 새삼 이 부담스러운 자리를 앞으로 쭉 전문가들께 요구해야 하는구나. 미리 그 고충을 체험한다. …
-
[기술너머] 디자인의 관점에서 바라본 지지봄봄
지지봄봄 40호 -멈춤과 도약 사이에서 기술너머 디자인의 관점에서 바라본 <지지봄봄> 조예진(지지봄봄 디자인 담당) ‘경기문화예술교육 비평 웹진'이라는 정체성을 지닌 <지지봄봄>은 2012년부터 매해 최소 2회 최대 5회 웹진을 발행해 왔으며, 올해 웹진 운영을 위한 새로운 …
-
[지금우리는] 뜬구름 편지의 뻘소리를 향한 조심스런 작심
지지봄봄 40호 -멈춤과 도약 사이에서 지금 우리는 <뜬구름 편지>의 뻘소리를 향한 조심스런 작심 인터뷰 참여 : 임아영(뜬구름 편지 편집장) 인터뷰 진행 : 임재춘(지지봄봄 편집위원) 인터뷰 정리 : 이충현(조금다른 주식회사) 살면서 일이든 관계든 상황은 바뀌기 마련이고, 그때마다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