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검색어 “”에 대해 총 1821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웹진 (총 491건)
-
[넘봄] 미학 편지 : 인간의 미적교육에 관한 실러의 미학이론
● 저자 프리드리히 쉴러 Johann Christoph Friedrich von Schiller, 1759~1805 독일 고전주의 문학가, 미학자 ● 번역 안인희 : 독일 문학, 철학, 예술서 전문 번역자이자 연구자 ● 출판사 : 휴먼아트 ● 페이지 : 261쪽 ● 출판년도 : 2012년 …
-
[넘봄] 지지봄봄이 전하는 최근 경기문화재단 소식
1. 경기도 문화예술교육지원 실무협의회 발족회의 개최 - 지난 2012년 11월 1일(목) 경기문화재단에서 경기 문화예술교육지원 실무협의회 발족회의가 개최되었습니다. 경기도, 경기도교육청, 경기문화재단, 경기도문화의전당, 문화원연합회 경기지회, 민예총 경기지회 등 지역의 문화예술교육 유관기관이 함께…
-
[넘봄] 제도가 사람을 모욕하지 않는 이상향, '품위 있는 사회'
사회담론을 이끌 수 있는 '상징'은 어떤 것이 있을까? 아비사이 마갈릿은 존 롤스의 <정의론>에서 제시된 정의로운 사회와 대조해 우리에게 당장 시급한 문제는 정의가 아니라 '품위 있는 사회'를 이루는 것이라고 주저없이 말한다. 이에 대한 원저의 명칭은 The Decent Society다. Decent는 해석하…
-
[넘봄] 미래교육의 열쇠, 창의적 문화교육
해방 이후부터 지금까지 성공을 위한 성취와 그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에 치중해 '국영수'교과과정 중심으로 운영되어 온 우리 교육과정이 야기하고 있는 사회적 문제란 적지 않다. 교육은 교육 뿐만이 아니라 세대, 사회, 문화, 나아가 그 시대를 규정하는 힘의 '중추'라는 점에서 사회의 구심…
-
[넘봄] 2013 지역특성화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공모 안내
2013 지역특성화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Moving School : 깊고 심심한 동네 관찰기행 [##_1N|cfile24.uf@161E5E4D50E07AE80989F3.hwp|filename="양식_사업계획서.hwp" filemime="Composite Document File V2 Docum"|_##] ■ 사업목표 ○ '공간'을 키워드…
-
[넘봄] 영국 피터버러시(市) ‘예술과 사회 변화(Arts and Social Change)' 프로젝트
최근 들어 커뮤니티에 대한 높아진 관심과 공동체 의식 부재에 대한 문제의식으로, 다양한 커뮤니티 활성화 프로젝트들이 정책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들 프로젝트를 살펴보면 ‘예술’ 및 ‘문화’와 관련된 프로그램들은 필수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만큼 그 역할과 효과가 주…
-
[넘봄] '나홀로 볼링'은 더 이상 없다
내가 사는 양천구가 요즘 소란스럽다. 목동 행복주택지구 지정을 철회하라는 지역 주민들의 반대 여론이 높기 때문이다. 행복주택 설명회는 파행으로 끝났고, 오목교역 주변 곳곳에 행복주택지구 지정 철회를 촉구하는 현수막들이 일제히 걸렸다. 행복주택은 철도부지와 유수지를 활용해 임대주택을 지어 시세의 50~70% 수…
-
[넘봄] “우리는 자원이 아니라 공유지를 지켜야 한다”
괴테의 『파우스트』(1808) 제4막에 다음과 같은 유명한 대사가 나온다. “지배권과 소유권을 회득하고 말 테다! 사업이 전부다. 명성은 무(無)야!” 악마 메피스토펠레스와 거래를 마친 파우스트 박사가 이른바 개발 사업에 전념하겠다며 각오를 다지는 장면이다. 이어진 대사에서 "r파우스트 박사는 메피…
-
[넘봄] 런던 박물관
전시가 담은 “세계의 이야기”프로젝트 런던 올림픽이 한창이던 작년 여름, 런던이라는 도시의 역사와 이야기를 가장 잘 살펴 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한껏 안고 런던 박물관(Museum of London)을 찾았다. 라는 로마시대의 런던을 다룬 상설전시실로 들어서려는데, 그 입구에 라는 특별전이 한 섹션을 차지하고 있었다. 천장에 매달린 가이 포크스(Guy Fawke…
-
[넘봄] 말은 가르치지만, 행동은 감동하게 한다
“신은 태초에 바보를 만들었다. 그러나 그것은 연습용이었다. 보다 진화한 신은 본격적으로 학교와 교육청을 창조했다.” 19세기말 미국의 교육 문제를 지적한 마크 트웨인의 뼈 있는 농담이다. 학교 제도교육을 받지 않고 독학으로 공부한 마크 트웨인이 『허클베리 핀의 모험』, 『톰 소여의 모험』 같은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