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검색어 “”에 대해 총 1821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웹진 (총 491건)
-
[더봄] 공동체 방담회 2. 커뮤니티, 함께 “밥을 하는 것”과 같은.
공동체 방담회 두 번째 이야기 커뮤니티, 함께 “밥을 하는 것”과 같은. “...모 지역에 있는 청소년 문화의 집을 처음 만나게 되었었죠. 프로그램이 잘 안 되는 경우도 있었고, 근데 그것보다 충격적이었던 것은 프로그램을 끝나고 밥 먹는 시간이었어요. 생협운동을 하고 있는 곳이랑 …
-
[더봄] 공동체 방담회 3.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의 어려움
공동체 방담회 세 번째 이야기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의 어려움 현장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조직해보는 일은 어찌 보면 우리의 머릿속에 있던 관념들을 실체로 구체화시키는 일이기도 하다. 쉽게 무리 없이 일이 진행된다면 좋지만 현장에서의 다양한 목소리는 비단 기획자들뿐만 아니라 참가자들, 혹은 …
-
[더봄] 공동체 방담회 4.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몇 가지 고민
공동체 방담회 네 번째 이야기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몇 가지 고민 긴 시간동안 진행되었던 것만큼 방담회 현장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이 보다 활성화되기 위한 몇 가지 아이디어나 고민들도 쏟아져 나왔다. 모든 이야기를 다 담지는 못하지만 지지봄봄에서는 몇 가지 이야기를 추려 현장 기획자들의 …
-
[더봄] [기획자 방담회]문화예술교육, '공동체'를 고민하다
베네딕트 엔더슨의 유명한 『상상의 공동체』 에는 2002년 월드컵 당시 붉은 치장을 하고 나와 시청광장에서 ‘대~한민국’을 외치는 ‘우리들’의 사진이 표지로 실려 있다. 그로부터 10년, 우리가 생각했던 ‘그 공동체’는 어떤 모습인가? 거리엔 ‘부랑자’들이 가득하고 지…
-
[더봄] 첫 번째 이야기 : 미적 교육이란 무엇인가? 왜 주목해야 하는가?
지지봄봄 두 번째 방담회 : 미적 교육 1. 미적 교육이란 무엇인가? 왜 주목해야 하는가? 박형주 : 방담회 사회를 맡게 된 박형주입니다. 얼마 전에 시사IN을 볼 기회가 있었는데 거기도 보니깐 ‘방담회’를 진행하고 있어서 유심히 본 적이 있습니다. 일명 대선주자들 &…
-
[더봄] 두 번째 이야기 : 미적교육, 현장의 균열과 한계, 그리고 아이디어
지지봄봄 두 번째 방담회 : 미적 교육 2. 미적교육, 현장의 균열과 한계, 그리고 아이디어 박형주 : 일반적으로 미적 교육이라고 이야기하면 아름다움을 가르치는 것이라고 이해하면서 단순하게 예술 교육을 '많이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 같아요. 미적 교육이라는 이야…
-
[더봄] 세 번째 이야기 : 아름다움을 가르치는 것, 그 방법과 현장에서의 환경
지지봄봄 두 번째 방담회 : 미적 교육 3. 아름다움을 가르치는 것, 그 방법과 현장에서의 환경 임재춘 : 김인규 선생님 글에는 자기결정성이라는 표현을 쓰셨고, 현광일 선생님은 공동체의 대척점으로서의 개인과 개인성을 이야기하셨고, 윤현옥 선생님의 말씀 중에는 이것과 …
-
[더봄] 네 번째 이야기 : 교사들에게, 그리고 학교 밖 '마을'에 대해서
지지봄봄 두 번째 방담회 : 미적 교육 4. 교사들에게, 그리고 학교 밖 '마을'에 대해서 박형주 : 마지막으로 지금 현장에서, 다양한 차원에서의 예술 강사 연수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런 차원에서 이 논의와 관련해서 반영해야 할 것들이 있다면 말씀해…
-
[더봄] [두 번째 방담회] 미적 교육, 무엇을 위한 '아름다움'인가?
'아름다움을 가르치는 것'은 어떤 행위일까요? 또 그 '아름다움'이란 무엇이며, 무엇이 '되어야' 할까요? 쉽사리 상상해볼 수는 있지만 결론을 내리기 쉽지 않은 이 이야기들에 대해 문화예술교육 종사자와 전문가들이 화두를 던져봅니다. 현장에서, 혹은 데스크에서 늘상 한번씩 있어왔던 문화예…
-
[더봄] "학교 예술강사는 '교사'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경기도 광주 청석에듀시어터 이기복 대표 인터뷰 "학교 예술강사는 ‘교사’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대담 = 고영직 (문학평론가) | 정리 = 정혜교, 고영직 인구 29만 명의 경기도 광주(廣州)에서 30년째 학교 현장 안과 밖에서 청소년들과 함께 연극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