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검색어 “”에 대해 총 1821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웹진 (총 491건)
-
[더봄] [2013-1 방담회] #3. 나오기 : 마을에서의 '경험교육'이 가능하려면,
#3. 나오기 : 마을에서의 '경험교육'이 가능하려면, - 고영직 : 김수영 시인은 시인의 역할은 새로운 시를 발견하는 것이라고 이야기 한다. 예술교육 현장에서 강사든 어떤 형태이던 간에 기본적으로 새로운 예술교육을 발견하려는 태도가 필요하다. 마을에서의 어떤 예술교육을 한다는 것은 문화…
-
[더봄] '창조적 공유지'를 상상하는 문화예술교육
지난 8월 5일, 서울시 청년일자리허브에서 '창조적 공유지를 상상하는 문화예술교육'이라는 주제로 열린 지지봄봄 두 번째 방담회는 편집위원인 고영직 문학평론가의 사회로 주제되었습니다. 문화예술교육의 '공간'과 '교육 주체'에 대한 고민, 그리고 교육과 공간의 '공유(共有)'라는 특…
-
[더봄] [2013-2방담회] 1. 토요문화학교와 문화예술교육
- 고영직(이하 ‘고’) : 《지지봄봄》 두 번째 방담을 시작하겠다. 이번호 주제는 ‘창조적 공유지로서의 문화공간’이다. 목홍균 선생님은 토요문화학교 사례를 말씀해주실 것으로 기대하고, 최현철 사무국장은 현재의 문화예술교육 제도와 무관하지만 지역 주민들의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주목받는…
-
[더봄] [2013-2방담회] 2. 성찰적 삶을 위한 교육예술
2. 성찰적 삶을 위한 ‘교육예술’ ― 동심천사주의를 넘자 - 월 : 토요문화학교는 사실 예술교육보다는 ‘삶의 교육’에 더 접근해보자는 측면이 강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예술을 위한 예술보다는 ‘삶을 성찰하는 예술’ 활동인 것이다. 문화공간이라는 틀이 지어져 있는…
-
[더봄] [2013-2방담회] 3. 공유(共有)하는 공간은 어떻게 가능한가
3. 공유(共有)하는 공간은 어떻게 가능한가 ― 부천 담쟁이문화원의 경우 - 최현철(이하 ‘최’) : 서울에서 활동하다 부천에 갔다. 담쟁이문화원을 만든 한효석 선생님이 부천에서 30년 활동을 하고 계셨으니 지역의 유지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담쟁이문화원이 이런 곳이라고 본색을 …
-
[더봄] [2013-2방담회] 4. 공유(共有)의 비극을 넘는 두 가지 길
4. 공유(共有)의 비극을 넘는 두 가지 길 ― ‘입금’이냐 ‘몸빵’이냐 - 고 : 경제학 용어 중 ‘공유의 비극’이라는 말이 있다. 여성 경제학자 엘리너 오스트롬이 쓴 『공유의 비극을 넘어서』라는 책은 “경제 지배구조(Economic governance) 분석을 통해 공공의 자산…
-
[더봄] 경계에서 학교를 바라보다
지지봄봄 세번째 방담회는 “경계에서 학교를 바라보다”라는 주제로 진행되었습니다. 우리의 고정관념으로 학교는 보통 8~24세에 머물게 되는 공간, 운동장과 강의실이 있고 교사와 학생이 존재하는 공간으로 생각하게 됩니다. 그런데 평생학습의 관점에서 바라보면, 이미 이러한 고정관념의 영역 바깥에서 움…
-
[더봄] [2013-3 방담회] 1. 경계 들어서기
1. 경계 들어서기 / 소개 이기언 : 오늘 방담회의 사회를 맡았다. 이야기를 어떻게 끌어갈까 고민스럽지만 다들 다양한 교육 현장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이므로, 각자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지 이야기를 들어보며 이후 이야기를 나누면 좋겠다. 김태균 : 나는 작가이고, 교육 경험이 많은 사람은 …
-
[더봄] [2013-3 방담회] 2. 경계 더듬어보기
2. 경계 더듬어보기 / ‘학교’를 부를 때 이기언 : ‘문화예술교육’이라고 하는 많은 부분이 학교 밖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어떻게 보면 이현주 선생님이 학교 이야기를 해주셨으니 그 경험에서 나온 이야기를 해주시면 좋겠다. 민경은샘과 문화예술교육…
-
[더봄] [2013-3 방담회] 3. 경계가 꾸는 꿈들
3. 경계가 꾸는 꿈들 / 배움, 경험, 협업, 공동체 강원재 : 학교, 교육이라는 것은, 내가 알지 못하는 것으로부터 만나는 것일텐데 이 새로운 것을 만나는 방식을 가장 잘 하는 사람이 교육자가 되어야 한다. 그런데 그것을 일방적으로 주입하는 방식으로 교육이 일어나는 게 대부분이다. 교육이라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