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검색어 “”에 대해 총 1821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웹진 (총 491건)
-
[더봄] [2013년 네 번째 방담회]문화예술교육과 의례 경험
진행 : 나하나(공간 반반) 패널 : 김겸(김겸미술품보존연구소/건국대학교 겸임교수), 김경옥(공간 민들레 대표), 김준한(공간 민들레 길잡이 교사), 조인호(비공개무형식프로젝트그룹 CaE), 장혜윤(경기문화재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12월이면 어디에서나 1년을 정리하고 다음 해를 준비하느라 분주하지요. 문화예…
-
[더봄] [2013-4 방담회] 1. 12월은 통과의례의 달
1. 12월은 통과의례의 달 - 나하나 : 12월이면 지원사업을 마무리하는 기간이다. 오늘 《지지봄봄》 방담회에서는 연말에 이루어지는 발표회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짚어보려 한다. 교육을 끝내는 각종 의례들이 올해를 정리하는 의미도 있지만, 내년을 준비하는 의미도 있어서 어떤 방식, 혹은 …
-
[더봄] [2013-4 방담회] 2. 의례에서 배우는 완결의 체험과 소통의 경험
2. 의례에서 배우는 완결의 체험과 소통의 경험 - 김겸 : 문화예술교육이든 발표회든 간에 분리해서 생각을 하셔서 자꾸 현실적으로 어떻게 보여지는가에 대해 고민을 하게 된다. 일단 발표가 되면 사회적으로 여러가지 실용적인 의미에서 평가를 받든, 내년 예산을 받는데 도움이 되든 간에, 그것은 …
-
[더봄] [2013-4 방담회] 3. 무엇이 성장을 위한 의례를 방해하는가
3. 무엇이 성장을 위한 의례를 방해하는가 - 김경옥 : 교육적 의미가 있으려면 ‘시간성’을 확보하는 것도 필요하다. 교감을 통해 무언가를 완성하고, 매듭을 지으면 좋은데, 짧은 시간 안에서 무언가 해치우게 하는 구조의 문화예술교육이 되다 보면, 마무리 의미를 갖는 의례조차도 교육적…
-
[더봄] [2013-4 방담회] 4. 새로운 의례의 언어는 가능한가
4. 새로운 의례의 언어는 가능한가 ― 기획자와 예술교사의 역할 - 김겸 : 학생을 지도할 때는 아이에게 이것이 ‘진정한 완결’인지에 대해 자꾸 질문을 해야 한다. 그리고 한정된 시간 안에 학생이 생각하는 완성을 만들어보라고 제안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아이들은 이것이 끝난 …
-
[더봄] 문화예술교육, '성과가 아닌 성찰의 시간'을 요구하다
문화예술교육정책은 지난 10여 년 동안 한국 사회의 문화제도 내에서 가장 폭발적으로 양적 팽창을 달성한 영역이다. 불과 10년 전만 해도 국가 제도 내에 존재하지 않았던 문화예술교육정책은, 2013년 기준으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하 진흥원)의 연간 지출액만 1,000억원이 넘는 규모에 도달했다.* * 한국…
-
[더봄] 마석이야기, 아무것도 없는 것에서의 풍부함
만남의 시작 2004년 이주노동자 활동가와 마석가구단지를 처음으로 방문했다. 늦은 저녁 마석가구단지 풍경은 충격적이었다. 표현하기 어렵지만 마치 낮이 없는 곳 같았다. 미래소년 코난에 나오는 인더스트리아 지하 같은 빛이 없는 장소랄까? 마석가구단지를 오고간 시간이 10년이 흘렀다. 그 시간동안 마석가…
-
[더봄] 생활예술공동체 문화바람
문화예술은 유기적인 생명체다. 생태계(ecosystem)는 특정한 단위 공간 내에 있는 모든 생물체와 그들 간의 모든 상호관계를 밝히는 구조로 전체가 존재하는 조건이 된다. 문화예술의 창작/생산․ 매개/유통․ 수용/소비 등 구조를 이러한 생태계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의미는 각 부분을 전체 안에서 연관성을 파악하…
-
[더봄] 기뻐서 기꺼이 하는 문화예술교육
잊어버리고, 잃어버리고, 놓쳐버린 것들을 찾아서 13월, 지난해의 작업도 마무리 되지 않은/마무리 될 리 없는 상태에서 지원금 신청의 계절을 맞이하고 지나보냈다. <땀땀 공작소> 오픈 스튜디오*를 준비하고 진행하는 동안, 마땅히 춤추고 노래해야 할 몸과 마음은 몇 개의 지원 신청서를 열어 놓은 컴퓨…
-
[더봄] 한 사람의 혁명을 위하여
나는 여러분에게 1인 혁명을 명령합니다. 그것만이 실현 가능한 유일한 혁명입니다. _ 로버트 프로스트 시 「토양을 만들자(Build Soil)」(1932) 중에서 교육 문제는 교육 문제로만 풀 수 없다. 교육 문제를 교육 문제로 푸는 대증요법으로는 진짜 ‘답’이 나오지 않는다. 교육 문제의 해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