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검색어 “”에 대해 총 1821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웹진 (총 491건)
-
[더봄] 삶과예술배움청, ‘배움’으로서의 삶을 다시 생각한다
1. 고민의 시작, ‘창의예술학교’ ‘학교 밖 학교’라는 실험이 가능할까? 창의예술학교는 학교 밖 학교라는 개념으로 출발했다. 이 개념은 현재 한국사회가 안고 있는 두 가지 문제 상황에 대한 반성을 전제하고 있다. 첫 번째는 양질의 전환 시기를 놓쳐 버린 문화예술교육의 오늘…
-
[더봄] 용기있게 사랑하라, 그리고 춤 추라
[Floor 질문] 1. 정부 주도의 교육 정책들은 정책적 필요성에 의해 인위적으로 진행되는 측면이 크다고 생각한다. 예컨대 아이들에게 소프트웨어 코딩을 가르치는 미래창조과학부의 프로그래밍 교육도 그런 맥락일 것이다. 문화예술교육도 정부가 정책적으로 끌고 가는 프레임인데, 일부 교육자들은 철학적 토대나 고…
-
[더봄] PaTI 생각, 애지음, 생각하는 손, 그리고 삶의 교육
저는 디자인을 직업으로 하다가 작년에 파주에서 타이포그라피 학교 PaTI를 시작했습니다. 소위 교장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PaTI에서는 교장을 ‘날개’라고 부릅니다. 배우미들에게 날개를 달아주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해서 날개라고 지었죠. 저는 만 21년간 학교에 있었습니다. 한글을 전공했…
-
[더봄] 대안적 삶의 문화예술교육
1990년대 말 대안교육이라는 새로운 담론이 시작됐습니다. 그때 가장 큰 성찰 중 하나가 기존 교육은 삶과 유리된 교육이라는 반성이었습니다. 교과서, 교육과정, 교사의 태도 그 무엇도. 그 방향이 학습자의 삶과는 전혀 무관한 단순한 외우기에 불과했다는 것이죠. 이에 대한 반성으로 대안교육 현장은 삶을 교육 안에 …
-
[더봄] 제도로부터 자유로운 문화예술교육을 상상하다
'제도로부터 자유로운 문화예술교육을 상상하다’ 2014. 5. 28 / 동대문 옥상 파라다이스 진행: 박형주(하자센터 기획부장) 기조발제: 박찬국(작가) 참여패널 : 홍정현(DRP 프로젝트 PM), 서민정(청년일자리허브), 박희선(동탄 후마니타스 아카데…
-
[더봄] [2014-1 방담회]1. 탈주하는 문화예술교육의 공간
1. 탈주하는 문화예술교육의 공간 – 감각을 깨우는 공간에 대한 실험 동대문 옥상 파라다이스(DRP)의 옥상 정원 박찬국 제가 맨날 소개할 때 ‘밥찬국’이라고 하는 데요. 시장에 계신 최선례 할머니를 만나면, 예전에 먹었던 음식들을 굉장히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계셔요. 옛…
-
[더봄] [2014-1 방담회] 2. 문화예술교육의 재영토화
2. 문화예술교육의 재영토화 - 제도화를 넘어 관계성의 회복으로 동대문 옥상 파라다이스 텐트 박형주 전체적으로 어떤 일들을 하시는지 들을 수 있었고요. 몇 가지 쟁점을 가지고 이야기할게요. 들어보면 제도로부터 자유로운 문화예술교육이라는 게 뭐냐. 그러면 우리가 제도로부터 꼭 벗어나야 …
-
[더봄] [2014-1 방담회] 3. 문화예술교육의 발신자
3. 문화예술교육의 발신자 - 예술강사의 감각은 깨어있는가 청년일자리허브 서민정 실장 서민정 저는 계속 이런 생각이 들어요. 자칫 잘못 생각하면 프로그램으로 자꾸 접근하게 된다는 생각이 들어요. 듣다보니 손작업 이런 것은 강력한 매개체가 되잖아요. 손도구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면서 &lsquo…
-
[더봄] [2014-1 방담회] 4. 제도화된 문화예술교육을 넘어서
4. 제도화된 문화예술교육을 넘어서 김경옥 아까 이야기한 법조항은 ‘등’은 유연성이 아니라 관리를 위한 표현방식인 거죠. 법 조항을 둘러싼 매커니즘은 제도가 아닌 제도화라는 거죠. 사람들이 학교화되어 있는 것처럼 제도화되어 있는 거죠. 이 제도 속에서 가장 나에게 이익이 되는 방식으로 살아…
-
[더봄] 크리스 메르코글리아노 초청강연회 <가만히 있으라고 말하는 사회, 아이들이 야생성을 어떻게 되살려줄까> _ 2부 크리스와의 대화(1)
이번 지지봄봄 방담회는 "크리스 메르코글리아노 초청강연회"에서 나눴던 크리스와의 대화를 싣습니다. <순서> ● 지지봄봄과 함께 하는 프리토킹 1. 아이들의 자치모둠, 그리고 교사의 우정 → 바로가기 2. 잠들어버린 아이와 예술로 만나기 → 바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