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검색어 “”에 대해 총 1821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웹진 (총 491건)
-
[더봄] 지지봄봄포럼_1부 기조강연 / 그럼에도 불구하고 함께 삽시다(2)
2. 예술과 예술교육 예술은 이렇게 비유를 통해 만들어지는 또 하나의 세상이다. 그러므로 현실의 삶을 넘어서는 초월적인 세계인 것이다. 예술을 통해 또 하나의 세상을 만든다는 의미에서는 종교의 역할을 겸하고 있는 것이다. 예술처럼 기독교에서도 하나님과 예수님의 말씀으로 세상을 비유하여 구원하려 하…
-
[더봄] 지지봄봄포럼 2부 주제발표 "자유" _ 아이들이 생동하는 수업
강원재(사회자) : 2부 시작하겠습니다. 제가 오늘 사회도 보고 발제도 해야 해서 바쁜데요. 사회자로서 드리는 말씀입니다. 오늘 발제자 분들은 10분 안에 마쳐 주시기 바랍니다. 저도 10분 안에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강원재(00은 대학 연구소 제 1소장) ○ 수업1. 익산 길청소년활동연구소와 …
-
[더봄] 지지봄봄포럼 2부 주제발표 자유 _ App-E, App=me와 야생적 아이들
강원재(사회자): 두 번째 발제는요. 양재혁 선생님이 해주시겠는데, 양재혁 선생님은 작가시기도 하고 대안학교에서 교사생활도 하셨고, 요즘은 작가이자 교사로 활동하고 계시고요. 그리고 요트를 가진 이 업계에서는 볼 수 없는 캐릭터를 가진 선생님이십니다. 양재혁 : 양재혁입니다. 왜 일어나셔서 부담…
-
[더봄] 지지봄봄포럼 2부 주제발표 민주주의 _ 시민이 되는 시인이 자라는 학교
김경옥: 저는 발제라기 보다 우리에게 주어질 토론시간의 마중물을 던져보면 되겠다 생각 했습니다. 제게 주어진 시간이 짧지 않다는 것도 기쁜 일이고요. 같이 생각해 보면 좋겠다 싶은 것을 간단히 말씀드리고 싶은데요. 김경옥(공간민들레 대표) 최근에 제가 접한 뉴스가 있어요. 여러 뉴스 중에…
-
[더봄] 지지봄봄 포럼 2부 주제발표 "생명환경" _ 생명의 감각이 깨어나는 마을
고영직(문학평론가) 고영직: 평소에 시 많이 읽으십니까? 시인되기는 쉬워도 시민 되기는 어렵다는 표현이 생각이 나는데요. 사실 시인되기도 어렵습니다. 사실 우리가 살려는 시대가 불투명하고 불확실하기 때문에 그럴 때 일수록 상징이 있는 시를 읽을 필요가 있는데요. 6편의 시를 다 하지는 못하겠고 주요한 …
-
[더봄] 지지봄봄포럼 2부 _ 주제발표 생명환경 생명의 감각이 깨어나는 마을(박희선)
박희선: 저는 기획자의 입장에서 식초 인문학을 기획하고 진행하는 과정에서 느낀 점 5가지를 중심으로 말씀드리려 합니다. 저희 단체는 성인대상의 인문학 프로그램을 같이 공부하는 단체여서 성인대상 문학, 역사, 철학 프로그램, 특히 미술사 공부를 많이 해서 문화예술에 관심이 많은 아카데미였는데요. 깊고 심심한 …
-
[더봄] 지지봄봄 포럼 3부 _ 종합토론과 공유 묻고 답하기(1)
강원재(사회자) : 발표하신 분들 앞으로 나와 주시겠습니까? 지금 이 시간까지 남아계신 정말 문화예술교육을 사랑하는 여러분께 감사드리면서 마지막 3부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어떤 이유로 오셨던 여러 강연과 발표를 들어 보셨는데 이야기를 나눠보기를 먼저 제안 드릴 게요. 그래서 마이…
-
[더봄] 지지봄봄 포럼 3부 종합토론과 공유 _ 묻고 답하기(2)
강원재(사회자) : 우선 고영직 선생님이 대답해 주시면 좋을 것 같은데요. 발제문을 다 발표 안 하셨는데 경기도 혁신학교 이야기도 들어 있어요. 학교 안에서의 문화예술교육. 혁신 학교는 공교육 안에서 방금 질문했던 것들을 넘어서는 시스템을 만들어낸 거거든요. 그 핵심적인 원리가 무엇이었는지 이어서 해 주시면 …
-
[더봄] 지지봄봄 포럼 3부 종합토론과 공유 마무리
강원재(사회자) : 오늘 장시간 이야기 나누고 질문에 답변도 해 주셨는데요. 제가 오늘 이 자리를 정리할 수는 없을 것 같고요. 기조강연을 해주신 김정헌 선생님이 끝까지 자리를 지켜주셨는데요. 선생님께서 우리들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어떤 생각을 하셨는지 나눠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김정헌 …
-
[가봄] 어울려 함께 만드는 모국 음식
경기문화재단에서 지원하고 뭇골문화사랑에서 주관하는 전통시장 다문화학교 '문화사세요' 프로젝트가 올 3월 부터 11월 까지 수원 일대에서 진행중에 있습니다. 크게 다문화라디오방송국, 다문화예술가프로젝트, 다문화요리교실로 나뉘는 '문화사세요' 프로젝트는 지역의 이주한국인 가정은 물론 지역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