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검색어 “”에 대해 총 1821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웹진 (총 491건)
-
[가봄] 문화예술로 태어난 자연생태
오랜시간 전철을 타고 옥구공원에 1시쯤 도착했다. 기다리고 계신 문화평론가 고영직 선생님과 만나 얘기를 나누며 경기도 시흥시 옥구공원 숲속교실로 향했다. 완연한 가을 하늘에 햇살은 따뜻했고 옥구공원의 사람들은 개를 산책시키거나 운동하는 모습의 평화로운 풍경이었다. 도착한 옥구공원 숲속교실에선 환…
-
[가봄] 얼렁뚱땅 생태도감!
프롤로그 98년도인가. 구령대에 교장 선생님이 올라서서 ‘IMF’가 무슨 뜻인지 아느냐고 물었다. 그때 내 나이, 열 셋이었다. 교장 선생님은 나라가 많이 힘들다고 했고, 부모님은 더 힘들다고 했다. ‘IMF’는 “I’m F학점”이라는 뜻이니 재시험을 보면 된다는 희망찬 얘…
-
[곁봄] 타인의 문화가 아니라, 만남을 배우는 '상호문화교육' - 수원못골문화사랑, 수원다문화도서관 협력프로그램 '다문화요리'
강원재(OO은대학연구소 1소장) 1. 지역은 경제, 문화, 교육, 주거, 인구, 자연 등의 구성과 환경이 주변의 지역과 구분되는 특징을 가진 시간적 공간적 사회적 범위를 일컫는다. 문화예술은 특정사회의 의례나 예술작품, 건축, 의상 등에 깃들어 있는 도드라진 미적양식이거나 도구적 이성에서 출발하는 활동…
-
[가봄] ‘목(木)금(金)토(土) 생태미술교실’ 그림 일기
# 수업의 풍경 1 선생님이 칠판에 그림을 그리고 설명을 합니다. 아이들이 선생님의 이야기를 귀기울이며 듣습니다. “우리들의 수업 제목에 대해서 설명해줄게요. 우리에게 익숙한 ‘월화수목금토일’ 중에서 월(달), 일(해)는 우주에 있는 것이어서 빼고, 화수목금토 중에서,…
-
[곁봄] 삶을 가꾸는 전략, 문화예술교육
박형주(하자센터 교육팀장) 기후변화, 식량 및 자원부족 등 전 지구적으로 인간의 삶을 둘러 싼 환경 문제가 최근의 세계 경제위기 속에서 더욱 첨예한 이슈로 제기되는 가운데, 환경문제를 다루어 생태학적 감수성을 일깨우는 예술 활동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농사의 사회적, 예술적 가치를 재발견하…
-
[곁봄] "우리가 작은 도서관에 가는 이유는 사람을 만나기 위함이다!"
박용남 선생이 쓴 『꿈의 도시 꾸리찌바』(녹색평론사 2009)를 보다가 “꾸리찌바에서 태어난 생명은 가치 있다”라는 구절에서 한참 생각에 잠긴 적이 있다. 재미와 장난이 만든 생태도시를 표방하는 브라질 꾸리찌바 시의 시정(市政) 철학이 이 한 줄에 함축적으로 요약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책을 보…
-
[곁봄] 권정생과 소박한 마을
요즘 뜨는 키워드는 ‘마을’이다. 여러 지방자치단체들이 마을과 관련된 사업들을 진행하고 기업들도 마을과 관련된 이미지를 심심찮게 광고에 활용한다. 서점에 가도 마을과 관련된 책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지금 우리가 애타게 마을에 매달리는 건 공동체라 ‘상상해왔던’ 사회관계의 허약함…
-
[곁봄] 아이들은 '칭찬하는 마을'에서 살고 싶다
0. ‘행동하는 대로 사느냐, 생각하는 대로 행동하느냐?’ 어린이와 청소년 시절에는 이 물음에 대해 생각해보고 인간관계의 기초체력을 기를 수 있는 경험이 필요한 것 같다. 인간관계의 기초체력이 부족한 아이들은 무기력한 모습뿐만 아니라 감정 폭발과 공격적인 행동을 표출하는 경우가 잦…
-
[곁봄] 공동체 문화예술교육, 소통과 돌봄의 '협동사회'를 촉진코자 하는 노력
태어나면서부터 타자와의 관계를 맺지 않고는 살아갈 수 없는 인간은 그가 속하게 된 사회의 미적 양식에 대한 학습, 즉 문화예술교육을 통해서만 구성원으로서 요구되는 역할과 마땅히 누릴 수 있는 활동을 할 수 있다. ‘자연’을 개척하여 마을과 도시를 만들어낸 문화와, 그곳에 사라져버렸거나 가…
-
[곁봄] 미적 교육을 위한 제언
어느 시대에나 교육은 바람직한 인간에 대한 어떤 이념을 요구하는데, 미적 교육이란 것이 추구하는 이상적 인간상은 한마디로 미적 인간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이념의 연원은 계몽주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 당시 영국의 샤프스버리, 독일의 괴테와 쉴러에게 완전한 인간이란 바로 아름다운 혼의 소유자였다.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