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검색어 “”에 대해 총 1821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웹진 (총 491건)
-
[곁봄] 아이들이 미적 인간으로 탄생했다!
놀이는 창의성의 원천이다. 상상하는 것이 힘이 되는 시대에 잘 놀 줄 아는 놀이력은 매우 중요하다. 나와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사는 공존(共存)의 사회를 위한 협동력과 감수성을 놀이 과정에서 몸과 마음으로 체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와 다른 사람의 처지에 대해 생각하고 공감할 줄 아는 아이들은 ‘마음의 진…
-
[곁봄] 공존의 평화를 배우는 고대(古代) 문명사 수업
우리 각자의 내면에는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가 같이 존재한다. 각자의 내면에 존재하는 괴물적 본성인 하이드 씨는 자신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소들 사이의 위계질서의 배합에 따라 언제든지 출현할 수 있다. 국가, 종교, 계급 같은 것은 우리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이다. 그런데 국가, 종교, 계급 같은 구성요…
-
[곁봄] 미적교육의 시선으로 바라본 두 개의 수업
미적교육의 등장 아름다운 예술작품이나 대자연의 경외로운 풍경을 만나고 나면, 한동안 그 만남을 추억하는 것만으로도 살아갈 힘이 생긴다. 어떤 드높은 질서 안에서 대상과의 합일하는 경험은 현실의 부족함, 불만, 불안을 넘어 새로운 세상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희망을 북돋는다. 사람 없는 석굴암 앞에서, …
-
[곁봄] '품위 있는 문화사회'는 가능한가?
나는 품위 있는 사회를 꿈꾼다. 품위 있는 사회는 위험사회로의 길이 아니라, 문화사회로의 길을 모색하려 할 때 가능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이스라엘 철학자 아비샤이 마갈릿은 『품위 있는 사회』(1996)라는 저서에서 “품위 있는 사회는 제도가 사람들을 모욕하지 않는 사회”라고 정의한다. 품위 있는 사회는…
-
[곁봄] 개정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을 우려한다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2013년 도입예정인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에 대해 문화예술교육인력의 “법적자격기준과 관리체계 마련”과 “사회적 인식제고와 신뢰 구축”, “전문성과 경력관리 역량강화”, 그리고 “양성교육과정개발”을 목적으로 한다고 <예술 강사 대상 문화예술…
-
[곁봄] 사람과 지역을 움직이는 힘, 문화적 태도와 상호작용
유알아트 15년. 많은 사람들 속에서 서로를 바라보며 각자가 자기 삶의 방향과 답을 찾아가며 한 사람 한 사람, 모든 사람이 예술가임을 증명하려는 <당신도 예술가>라는 이름으로 10년, 그리고 이후 5년. 여러 지역에서 진행된 다양한 과정들을 통해 참가자 각자들이 살아왔고 살아가는 이야기들이 서로 …
-
[곁봄] 지역이 마을로 변해가는 백 년의 시간
경기문화재단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사업 “Moving School : 깊고 심심한 동네읽기”는 지역사회의 유․무형 자원을 조사 탐색하면서 문화예술교육이 생동하는 장소로서의 지역이 갖는 가치를 발견하고 드러내고, 이 과정에서 형성되는 주민들과의 관계로부터 자발적 모임과 활동을 촉진 매개하는 생활문화공간…
-
[곁봄] 자석같은 향기의 비밀
교육철학자 수호믈린스키의 『아이들에게 온 마음을』(원제 To Children I give my Heart)이라는 책을 읽었다. 아이들과의 자연 수업에서 전인교육을 실현하고자 한 수호믈린스키의 교육철학과 교육방법론을 엿볼 수 있는 책이다. 자연의 아름다움을 향유하는 기쁨을 느끼고, 지식을 아는 기쁨을 추구하며, 타자와 연대하…
-
[곁봄] 세대를 가로질러 공동의 관계와 경험을 일구다
공동체의 문제를 풀어가는 창조적 해법을 마련하지 못하는 현실에서 문화예술교육은 지금 ‘정서적 지지의 역할, 공동의 경험을 만드는 역할, 창조적 해법을 시도하는 역할 등 다층적인 역할’을 요구받고 있다. 그러다보니 지역사회에서 주체적으로 문화적 가능성을 만들어 갈 수 있도록 설계된 문화예술교육 …
-
[곁봄] 서로 배우며 함께 성장하는 배움의 환경을 만드는 수원시 평생학습관
문화예술교육은 ‘교육이 학교라는 공간에서 교사만이 할 수 있다’라는 교육에 관한 근대적 신화가 만들어낸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제안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문화예술교육은 예술적 표현기법만을 가르치는 교육이 아니라 예술적 이해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사회를 이해하는 보다 넓은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