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검색어 “”에 대해 총 1951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웹진 (총 500건)
-
[곁봄] 다시, 문화예술교육을 위하여
16호 곁봄 | 칼럼 다시, 문화예술교육을 위하여 김종길 / 16호 편집장 . 경기문화재단 문예진흥실장 문화예술교육 10년이라네요. 2005년 문화예술교육법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탄생을 두고 하는 얘기겠죠. 하지만 저는 2003년에 이미 경기문화재단의 기전문화대학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처음 경험…
-
[곁봄] 문화예술교육 10년, 다시 문화예술교육론을 생각한다!
16호 곁봄 | 칼럼 문화예술교육 10년, 다시 문화예술교육론을 생각한다! 김보성 / 성남문화재단 문화진흥국장 1. 들어가며 2005년 12월 29일 제정·공포된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을 기점으로 10년의 역사가 흘렀다. 314억원으로 시작된 문화예술교육 정책사업은 현재 1300억원대로 늘어났고 …
-
[곁봄] 예술교육이 인성교육이며, 인성교육이 예술교육이다
16호 곁봄 | 칼럼 예술교육이 인성교육이며, 인성교육이 예술교육이다 권재원 / 성원중 교사, 우리교육 편집위원 2016년부터 인성교육진흥법이 본격적으로 적용된다. 국가, 지자체, 학교는 의무적으로 인성교육을 위한 예산을 편성 실시해야 하며, 교육부는 그 성과를 평가하고, 이 교육을 담당할 인성교…
-
[곁봄] 삶을 예술작품으로 만드는 시 쓰기!
16호 곁봄 | 칼럼 삶을 예술작품으로 만드는 시 쓰기! 황규관 / 시인 우연찮게 내가 몸담고 있는 출판사에서 경북 칠곡의 할머니들이 문해교육(文解 敎育)을 받으면서 쓴 시들을 모아 내게 되었다. 『시가 뭐고?』라는 시집이다. 지인의 소개로 시작된 것이었는데 출간 작업이 들어가기에 앞서 우리는 …
-
[곁봄] 변화의 촉매제로서의 시민연극의 가치
16호 곁봄 | 칼럼 변화의 촉매제로서의 시민연극의 가치 김지연 / 교육연극연구소 프락시스 공동대표 예술은 사람을 변화시키고, 그 사람은 자신의 삶을 자신의 이웃을 자신의 지역을, 사회를, 그리고 세상을 변화시킨다. 예술 하나만으로 사람들을 다 바꿀 수는 없다. 깨어있는 의식이야말로 변화의 핵…
-
[곁봄] 삶의 실천적 철학으로서의 ‘(문화)예술’을 사유하다
16호 곁봄 | 칼럼 삶의 실천적 철학으로서의 ‘(문화)예술’을 사유하다 전성원 / 황해문화 편집장 한나 아렌트는 『인간의 조건』에서 ‘활동적 삶(vita activa)’이란 용어를 통해 인간 삶의 조건을 ‘노동과 작업, 그리고 행위’라는 세 가지 요소로 구분하고 …
-
[곁봄] 인간의 지혜를 들깨우는 사슴뿔도서관 샤먼은 왜 필요한가
16호 곁봄 | 칼럼 인간의 지혜를 들깨우는 사슴뿔도서관 샤먼은 왜 필요한가 김남수 / 안무비평가 사슴뿔도서관이란 어떤 위상에 있는가 사슴뿔도서관은 ‘호모 사피엔스’로서의 위상을 되찾는 도서관으로 기획되었다. 아니, ‘호모 사피엔스’라니? 새삼스럽게 그 무…
-
[곁봄] 교육과 예술을 ‘자연적 성장의 육성’으로 되돌리기
16호 곁봄 | 칼럼 교육과 예술을 ‘자연적 성장의 육성’으로 되돌리기 심광현 /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이론과 교수, 미학/문화연구 태어나 땅에 떨어져 휘청거리다가 몇 초 안 되어 엄마와 함께 달리기 시작하는 얼룩말 새끼처럼 동물은 부모의 돌봄 없이 환경과 대면하면서 스스로 살…
-
[곁봄] 『만인보』가 노래하는 인간과 삼라만상
16호 곁봄 | 칼럼 『만인보』 가 노래하는 인간과 삼라만상 박성현 / 인문학자, 역사학 박사 필자는 젊은 시절, 소비에트 연방이 붕괴되고 자본주의사회로 넘어가던 과도기인 1992년 러시아로 유학을 떠났었는데, 그곳에서 감탄했던 인상적인 일들 중의 하나가 ‘미적 교육’의 문제…
-
[곁봄] 늘 달리 자기를 실현해 가는 존재의 실현운동으로서의 예술
16호 곁봄 | 칼럼 늘 달리 자기를 실현해 가는 존재의 실현운동으로서의 예술 박남희 / 철학 아카데미 이사 예술이란 무엇인가. 예술이란 뭘까. 예술이 무엇이기에 지금 이 시대에 우리는 예술에 대해 묻는 것일까. 도대체 이 시대는 예술을 통해 무엇을 얻고자 하는 것인가. 예술이 상품화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