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검색어 “”에 대해 총 1951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웹진 (총 500건)
-
[가봄] 에즈원커뮤니티를 다녀와서
19호 가봄 | 현장스케치 에즈원커뮤니티를 다녀와서 조정훈 / 우리동네사람들 〈에즈원커뮤니티〉(이하 에즈원)는 생각보다 가까웠다. 비행기로 1시간 반을 날아 도착한 일본 나고야 쥬부공항에서 쾌속선과 자동차를 타면 약 1시간 만에 도착한다. 새삼, 일찌감치 아시아는 일일생활권이 되었음을 …
-
[곁봄] 청년, 지리산에 모여 청년을 이야기하다
19호 가봄 | 현장스케치 청년, 지리산에 모여 청년을 이야기하다 지리산 이음포럼 2016 임정아 / 발도르프학교 교사 〈지리산 이음포럼〉은 1년에 한 번, 청년들이 지리산에 모여 몸과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경험과 계획 등을 교류하는 포럼이다. 올해는 “청년, 지리산에…
-
[곁봄] 발생학으로 본 공동체의 의미
19호 곁봄 | 소칼럼 발생학으로 본 공동체의 의미 강철형 / 동양의학연구가 공동체를 만들다 정자와 난자가 합쳐져 수정란이 되면 부지런히 분열하다가 어느 정도 숫자가 되고 갑자기 모든 배아가 벽으로 붙으면서 공간을 만든다. 이렇게 무엇인가를 만든다는 …
-
[곁봄] 사이좋은 사람들과 아이 키우기
19호 곁봄| 칼럼 사이좋은 사람들과 아이 키우기 억압 없이 아이를 키우는 것에 대하여 이성희 / 초등학교 교사 걷는 것보다는 뛰는 것이 더 재미있는 22개월 윤호는 잠에서 깨자마자 거실로 나간다. 종종종 짧은 다리를 부지런히 움직여 이미 출근한 이모 방을 둘러보고는 곧장 다른 방문을 열고 들…
-
[곁봄] 공유지는 살아 움직인다
19호 곁봄| 칼럼 공유지는 살아 움직인다 김정선 / 문탁네트워크 ‘마을 공유지 874-6’(이후 파지사유)은 ‘문탁 네트워크’(이후 문탁)가 만든 공간이다. 세미나하고 강의 듣고 전시가 열리는 장소이며, 졸업식장이 되기도 하고 공연장이 되기도 하는 곳이다. 파지사유는 그…
-
[곁봄] 마을공동체에서 꽃피는 문화예술교육
19호 곁봄 | 칼럼 마을공동체에서 꽃피는 문화예술교육 조정훈 / 우리동네사람들 우선 제목에 대해 하나하나 의미를 살펴보려 합니다. ‘마을’, ‘공동체’, ‘문화’, ‘예술’, ‘교육’은 근래 꽤나 ‘핫한’ 주제입니다. 실은 …
-
[곁봄] 강화군 양도면의 '진강산마을교육공동체'
19호 곁봄 | 칼럼 강화군 양도면의 '진강산마을교육공동체' 유상용 / 진강산마을교육공동체 ‘강화’ 하면 많은 사람들이 떠올리는 마니산은 강화도의 남단에 위치하고 있다. 그 북쪽에 있는 산이 진강산인데, 진강산의 북-서-남쪽 기슭에 양도면 사람들이 깃들어 살고 있다. 양도면…
-
[넘봄] 한 발도르프 교사의 생생한 교육 이야기
20호 넘봄 | 서평 한 발도르프 교사의 생생한 교육 이야기 “8년간의 교실여행 School as a Journey”을 읽고 천윤희 / 광주비엔날레 삶과 교육, 그 통합적 여행에 들어서다 첫 아이가 6살이니, 나는 6년간의 여행 중이다. 직업으로서의 교사의 길을 탐색하던 때, 부끄럽게도 나는 오…
-
[더봄] 문화예술교육의 기본을 교육예술로 묻다
20호 더봄 | 좌담회 문화예술교육의 기본을 교육예술로 묻다 일시: 2016.11.16. (수) 장소: 수원 달보드레 진행 : 임재춘(커뮤니티스튜디오104) 참석자 - 김희동(통전교육연구소) - 박형만(해오름평생교육원 으뜸일꾼) - 성국모(사단법인 밝은마을) - 김인규(서천고등학교 수석교사) …
-
[가봄] 내 안에 살아 있는 신화
20호 가봄 | 현장스케치 내 안에 살아 있는 신화 2016년 여름 해오름어린이살림학교 최정필 / 오름어린이살림학교 교사 1997년부터 해마다 계절학교를 준비해오면서 살림학교 선생님들이 모여 맨 처음 하는 일은 주제를 정하는 일입니다. 알려고 애쓰지 않아도 쓰나미처럼 덮쳐오는 지식과 정보 속에 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