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검색어 “”에 대해 총 1951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웹진 (총 500건)
-
[곁봄] 나름의 입장과 각각의 언어
20호 곁봄 | 칼럼 나름의 입장과 각각의 언어 임재춘 / 커뮤니티 스튜디오104 공동운영자 2016년 올해 지지봄봄이 큰 주제로 삼은 ‘삶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은 사실 문화예술교육이란 무엇인가와 다른 질문이 아닙니다. 문화예술교육이라는 이름이 있기 이전이든 이후이든지 간에 가치 있…
-
[곁봄] 교사 한명이 곧 하나의 학교
20호 곁봄 | 칼럼 교사 한명이 곧 하나의 학교 박형만 / 해오름평생교육원 으뜸일꾼 들어서기 교육은 무엇이며 어떻게 실현하는 것인가에 대한 물음은 시대와 상황에 따라 끊임없이 되묻고 답해야 하는 과제입니다. 특히 한국 사회에서 교육은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한 물음은 정부 및 교육학자…
-
[곁봄] 슈타이너의 인지학과 우리 교육사상의 철학적 교감
20호 곁봄 | 칼럼 슈타이너의 인지학과 우리 교육사상의 철학적 교감 성국모 / 밝은마을 봉천산 팔각정(강화 고인돌 근처). 밝은마을 여름 수련캠프 때(맨 오른쪽이 필자). 예로부터 전해온 탑과 팔각정은 수련문화의 흔적으로, 단전에 있는 9궁(九宮)의 외형적 상징 8각의 한 가운데에…
-
[곁봄] 예술적 경지와 교육적 경지의 거리
20호 곁봄 | 칼럼 예술적 경지와 교육적 경지의 거리 이기복 / 청석에듀시어터 대표 예술교육에 몸담고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경험하게 되는 것이 예술적 경지와 교육적 경지의 간극에서 느끼게 되는 딜레마이다. 청소년 관련 연극제에서 심사를 하며 느끼는 것은 예술적으로 뛰어나게 포장된 청소…
-
[곁봄] 학교 교육과 ‘역량’ 이전의 교육
20호 곁봄 | 칼럼 학교 교육과 ‘역량’ 이전의 교육 김인규 / 서천고등학교 수석교사 늘 자는 아이가 있다. 수업 시간에 어떤 일에도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 주변에서 재미있다고 떠들며 소란을 피워도 흔들림 없이 잔다. 깨워보지만 잠에 취한 눈빛으로 ‘나는 자겠다’는 의지를…
-
[곁봄] 지금, 여기 너머의 이야기에 몰입 할 수 있는 배움
20호 곁봄 | 칼럼 지금, 여기 너머의 이야기에 몰입 할 수 있는 배움 손채수 / 초암교육예술연구소장 교육예술은 예술을 통한 교육, 예술로서의 교육을 일컫는 것으로 예술적 교수학습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교육예술은 지식 습득 중심의 학습이 아니라 인간의 조화로운 발달에 목적을 둔 과정 중심의…
-
[곁봄] 김희동 선생님의 교육사상 '얼몬새 통전교육'
20호 곁봄 | 칼럼 김희동 선생님의 교육사상 '얼몬새 통전교육' 임재춘 / 커뮤니티스튜디오 104 가르친다는 것은 무엇이고 가르치는 것과 관련된 일을 하는 사람으로서 생각하고 공부해야 할 것들은 무엇일까. 이는 지금 우리 시대에 예술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와 함께 문화예술교육 현장이…
-
[넘봄] 삶의 여정에 감각과 의식을 깨워주는 ‘예술하기’
21호 넘봄 | 서평 삶의 여정에 감각과 의식을 깨워주는 ‘예술하기’ 에릭 부스 『일상, 그 매혹적인 예술』 서지혜 / 인컬쳐컨설팅 오늘날 예술가들은 예술이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의 필요에 응하며 역할을 확장해가는 데에 동원되거나 적극적인 탐색을 주도하는 활동에 꽤 비중 있…
-
[넘봄] 웰니스 신드롬 – 행복을 ‘사적인 것’으로 만드는 기술
21호 넘봄 | 서평 웰니스 신드롬 – 행복을 ‘사적인 것’으로 만드는 기술 칼 세데르스트룀 외 『건강신드롬』 채효정 / 정치학자 “이상하지 않아? 옛날에 우리가 어렸을 땐 낚시, 등산, 야영, 들놀이, 물놀이 같은 것들이 다 서민들의 여가문화 아니었나? 그런데 언젠가…
-
[더봄] ‘수업혁명’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하여
21호 더봄 | 좌담회 ‘수업혁명’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하여 일시 : 2017.07.10. (월) 장소 : 서울역 상상캔버스 진행 : 고영직(문학평론가) 참석자 - 김경옥(대안공간 민들레 대표) - 백용성(철학자, 문화기획자) - 오명숙(새롭게 보는 박물관 학교 대표) - 정민룡(광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