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검색어 “”에 대해 총 1952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웹진 (총 500건)
-
[더봄] ‘문화분권’ 위한 거버넌스를 구축하자
21호 더봄 | 기획대담 ‘문화분권’ 위한 거버넌스를 구축하자 새 정부에 바란다: 문화예술교육 정책 일시 : 2017.07.05.(수) 장소 : 서울혁신센터 청년허브 진행 : 경기문화재단 문화예술본부장 박희주 참석자 - 정연희(前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육진흥본부장) - 차재근(…
-
[가봄] 제작·놀이·실험의 아지트, 릴리쿰에 가다
21호 가봄 | 현장스케치 제작·놀이·실험의 아지트, 릴리쿰에 가다 송수연 / 언메이크 랩 DIY 문화, 개인 제조에서 교육, 사회문제 해결에 이르기까지 제작과 기술에 대한 사회적·문화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도시재생 프로젝트, 메이커 스페이스 등을 …
-
[가봄] 세계-선을 만들어가는 춤 판 - 호크마 댄스 씨어터, “바디 토크”
21호 가봄 | 현장스케치 세계-선을 만들어가는 춤 판 호크마 댄스 씨어터, “바디 토크” 백용성 / 철학자, 문화기획자 1 땡볕 오후, 분당 정자동에 도착해 탄천을 따라 걸었다. 멀리 탄천 야외 수영장에서 아이들 노는 소리가 들렸다. 아파트 단시 사이 다소…
-
[곁봄] 우리는 미적 공화국의 자유인이다
21호 곁봄 | 칼럼 우리는 미적 공화국의 자유인이다 고영직 / 문학평론가 어느 기획자는 “기획은 관계의 호출이다”(정민룡)라는 ‘기획자의 철학’을 강조한다.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고 잇는 기획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 언명이라고 할 수 있다. 1997년 개관한 광주 북구문화의…
-
[곁봄] 어떻게 가르치지 않고 배우게 할 것인가
21호 곁봄 | 칼럼 어떻게 가르치지 않고 배우게 할 것인가 김찬호 / 사회학자 1999년 뉴델리 NIIT 공대 컴퓨터 과학자들이 <벽에 뚫은 구멍(Hole in the Wall)>이라는 이색적인 실험을 했다. 어느 빈민가를 둘러싸고 있는 벽에 구멍을 뚫고 터치스크린 컴퓨터를 설치해놓았다. 그곳에 사…
-
[곁봄] 해외사례로 본 예술교육
21호 곁봄 | 칼럼 해외사례로 본 예술교육 남인우 / 극단북새통 예술감독 필자는 2013년 서울문화재단의 ‘해외 우수 문화예술교육기관 교류사업’ 방문단의 일원으로 유럽 4개국 주요 문화예술교육 관련 기관을 탐방하였다. 영국 런던의 ‘오페라하우스’에서부터 벨기에의 &l…
-
[곁봄] 코칭으로서 교육과 진리 생산공동체로서 학교
21호 곁봄 | 칼럼 코칭으로서 교육과 진리 생산공동체로서 학교 함돈균 / 문학평론가 어떤 문제를 해결하려고 할 때 우리가 엄두를 못 내는 경우, 그 이유는 문제를 한꺼번에 전체적으로 해결하려고 하기 때문인 경우가 많다. 문제의 파악은 총체적이고 구조적인 시야 속에서 이루어져야 하지…
-
[넘봄] 빛깔 좋은 생각 도구들도 꿰어야 보배다, 어떻게?
22호 넘봄 | 서평 빛깔 좋은 생각 도구들도 꿰어야 보배다, 어떻게? 강정석 / 지식순환협동조합 창의성을 ‘강박’으로 요구하는 사회 아마도 ‘창의성’은 21세기를 살아가는 지금 우리를 둘러싼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손꼽힐 것이다. 거의 모든 사회적 분야에…
-
[더봄] ‘문화예술교육, 체험에서 경험으로’
22호 더봄 | 좌담회 ‘문화예술교육, 체험에서 경험으로’ 일 시 : 2017. 11. 21(화) 15:00-18:00 장 소 : 스페이스 노아 진 행 : 김월식(무늬만커뮤니티) 참 석 자 - 임상빈(잔꾀) - 김소연(연극평론가) - 박도빈(동네형들) - 한승연(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
-
[가봄] 안전하지 않은 상상에 대한 응원
22호 가봄 | 현장스케치 안전하지 않은 상상에 대한 응원 최선영 / 창작그룹 비기자 “아빠의 코 고는 소리를 녹음한다는 것은 교육이 될 수 있을까” 경기문화예술교육 매개자 역량강화 워크숍 ‘상상력의 징후’ 중간에 이러한 이야기가 나왔다. 본 워크숍은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