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검색어 “”에 대해 총 1952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웹진 (총 500건)
-
[가봄] 지금부터 무엇도 상상하지 마세요
22호 가봄 | 현장스케치 지금부터 무엇도 상상하지 마세요 김은기 / 신기술소 ‘관찰은 생각의 한 형태이고, 생각은 관찰의 한 형태이다’ 『생각의 탄생』, 미셸 루트번스타인+로버트 루트번스타인, 에코의 서재, 2007 이 글은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3일간의 …
-
[가봄] 상상력을 위한 썸띵
22호 가봄 | 현장스케치 상상력을 위한 썸띵 강지윤 / 작가 * 본 기록은 9월 6일부터 8일, 경기상상캠퍼스에서 진행된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역량 강화 워크숍 <상상력의 징후>의 일부 과정을 관찰자의 입장에서 기록한 것이다. 참여자들은 네 모둠으로 나뉘어 각기 다른 워크숍을 경험하였고…
-
[가봄] 지아정원의 변명
22호 가봄 | 현장스케치 지아정원의 변명 이현정 / 지아정원 ※ 지아정원은 황대원 선생님(예술비평가)께 현재 진행하고 있는 ‘우리는 가족이야, 아니야?’라는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 대해 두 번의 비평을 부탁드렸습니다. 그 중 첫 번째 글이 도착했고 그 글은 저희가 하…
-
[곁봄] 플럭서스에서 배우다
22호 곁봄 | 칼럼 플럭서스에서 배우다 구정화 / 백남준아트센터 큐레이터 경험으로서 예술 역사적으로 기술의 발전은 산업현장과 더불어 교실의 모습을 바꾸어왔으며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이 화두인 오늘날의 상황도 마찬가지이다. 이미 오래전부터 수많은 미래학자는 향후 소멸할 몇 개의 …
-
[곁봄] 문화의 생산 주체로서의 예술 교육
22호 곁봄 | 칼럼 문화의 생산 주체로서의 예술 교육 박도빈 / 문화예술커뮤니티 동네형들 공동대표 문화예술커뮤니티 동네형들은 문화예술을 매개로 일상을 나누며 작지만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어 가고 있는 문화예술 단체이자 플랫폼이다. 6년째 다양한 형태의 예술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면서도 …
-
[곁봄] 단두대 위에 올라선 체험주의
22호 곁봄 | 칼럼 단두대 위에 올라선 체험주의 임상빈 / 잔꾀 ♟ 느리고 고집스러운 농부로부터 유기농법에는 땅에서 돌을 골라내지 말고 극심한 가뭄이 아니면 물도 주지 말라는 충고가 있다. 땅에는 흙과 함께 다양한 크기의 돌들이 뒤엉켜 있다. 돌을 골라낸 토양에서는 작물이 잘 자란…
-
[곁봄] 상상력의 징후에 대한 내밀한 자기고백(기획의 변)
22호 곁봄 | 칼럼 상상력의 징후에 대한 내밀한 자기고백(기획의 변) 김월식 / 무늬만커뮤니티 디렉터 예술가에 의한 예술가를 위한 예술가의 문화예술교육 오래된 생각이다. 늘 머릿속을 떠나지 않았던 몇 가지 질문의 답을 구하느라 이리저리 방황하며 고민의 출구를 찾으려 했지만 대체…
-
[곁봄] '몸소 겪는다'는 것
22호 곁봄 | 칼럼 '몸소 겪는다'는 것 김소연 / 연극평론가 이번 호 『지지봄봄』의 주제는 ‘체험에서 경험으로’다. 체험과 경험을 어떻게 구별할 수 있을까. 사전적 정의는 이렇다. 체험 : ① 자기가 몸소 겪음. 또는 그런 경험. ② <심리> 유기체가 직접 경험한 심적 과정…
-
[넘봄] 사람을 따라갈 때 보이는 좌표
23호 넘봄 | 서평 사람을 따라갈 때 보이는 좌표 채효정 『대학은 누구의 것인가』 최선영 / 창작그룹 비기자 * 이 글에서는 ‘중심’이라고 잠시 이름을 붙여볼까 한다. 강사, 기획자, 예술가, 실무자, 보조인력, 활동가 등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수많은 개별 사람들에…
-
[넘봄] ‘굿 윌 헌팅’이 예술 강사에게 보내는 메시지
23호 넘봄 | 리뷰 ‘굿 윌 헌팅’이 예술 강사에게 보내는 메시지 직면하는 힘에 관해 김유진 / 문화기획자 지난 몇 년간 여름방학, 겨울방학 시즌만 되면 예술 강사를 대상으로 한 기획력 향상 워크숍 요청 전화를 받았다. 기관 담당자는 대부분 예술 강사의 창의적 교육 기획 능력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