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검색어 “”에 대해 총 1821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웹진 (총 491건)
-
[기술너머] 기술적 유창성 이전에 서성이기
지지봄봄 33호 더듬어가기 기술너머 - 예술과 기술 기술적 유창성 이전에 서성이기 리모스코프(remoscope)와 테크진(Tech zine) 송수연 (언메이크랩) 자신의 감각과 방법으로 기술을 다루기 인간과 기계의 상호 작용이 높아지고 있는 환경에서 이해하고 수용해야 할 기술도 늘어나고 있다. 예술과 기술을 연결 또…
-
[언어들] 기술 앞에 서면, 주눅이 드는 문화예술교육
지지봄봄 33호 더듬어가기 언어들 기술 앞에 서면, 주눅이 드는 문화예술교육 임재춘(커뮤니티 스튜디오104, 지지봄봄 편집위원) 우선 밝히자면 저는 VR, AR, 메타버스, 이를 둘러싼 디지털 메커니즘과 같은 신기술을 잘 모릅니다. 진심으로 궁금하긴 합니다. 대체 이게 무엇인지, 왜 많은 이들이 이것을 활용하면 …
-
[표류기] 디어 루스
지지봄봄 32호 생태를 바라보는 시선의 높낮이 표류기 - 자기비평 디어 루스* 안소영(프로젝트제로) ‘루스’, 친한 친구에게 하듯 당신의 이름을 불러봅니다. 저는 지금 하루의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무인도 같은 작업실에 있습니다. 어느 날은 별로 생산적일 듯이 보이지 않는 걸레질로 시간을 보냅니…
-
[느긋한우정] 살아있는 이야기가 쌓여 만드는 풍경
지지봄봄 32호 생태를 바라보는 시선의 높낮이 느긋한 우정 - 삶이 기획이 될 때 : 두 번째 삶. 유명상 살아있는 이야기가 쌓여 만드는 풍경 김세영 (플러스마이너스1도씨) 플러스마이너스1도씨가 묻고, 청풍, 유명상이 대답하다. 서울에서 한 시간 남짓. 생각보다 일찍 도착한 강화 시내는 한적하고 맑았다. 햇살…
-
[느긋한우정] “안녕 지구불시착!”
지지봄봄 32호 생태를 바라보는 시선의 높낮이 느긋한 우정 - 현장이 사랑한 현장 “안녕 지구불시착!” 동네에서 만난 작은 책방과 사람들, 그리고 택수 허혜윤(공간 쌀ssal) 지금 사는 동네에 이사 온 지 3년이 거의 되어간다. 하루는 집 근처 산책을 하다가 재미있어 보이는 공간을 발견했다. 집에서 …
-
[느긋한우정] “개와 고양이의 정원”
지지봄봄 32호 생태를 바라보는 시선의 높낮이 느긋한 우정 – 스스로 소개하는 현장 “개와 고양이의 정원” 휴지통, 창고, 혹은 그 외 박은정, 톱니귀 ⟪플랫포밍 합정지구⟫는 전시공간 합정지구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소모임 중 하나인 <개와 고양이의 정원>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기획이다. …
-
[기술너머] 멈춤점에 서서 순환의 감각을 회복하는 일
지지봄봄 32호 생태를 바라보는 시선의 높낮이 기술너머 - 재난 시대의 예술과 생태 멈춤점에 서서 순환의 감각을 회복하는 일 김화용 (미술작가 / 기획자) “예술가의 창작의 자유를 너무 제한하네요. 당신은 그럼 수묵화만 지지하실 건가요?” 프로젝트의 지원금을 받기 위해 지원했던 한 문화재단의 …
-
[기술너머] 기술을 디더링하기
지지봄봄 32호 생태를 바라보는 시선의 높낮이 기술너머 - 예술과 기술 기술을 디더링하기 페어폰, 카메라 리스트리타, 로테크 웹사이트1) 송수연 (언메이크랩) 자유 라디오 운동을 한 코카와 테츠오는 송신기를 만들어 전파를 내보는 것은 해방감 넘치는 일이라고 말했다. 코가와 테츠오는 라디오 송신기 기술을 …
-
[언어들] 감각의 확장과 리듬의 회복
지지봄봄 32호 생태를 바라보는 시선의 높낮이 언어들 감각의 확장과 리듬의 회복 염신규(한국문화정책연구소 소장) 삶의 감각이 낯설게 되돌아오기 시작한 어떤 순간들 코로나가 사람들의 일상을 바꿔놓았다고 한다. 예전이라면 상상할 수 없는 일상의 모습을 볼 수 있다. 특히 개인적으로 이런 격차가 다른 사…
-
[언어들] 상징을 바꾸고 우리의 언어로 바꾸는 것이 변화의 첫걸음
지지봄봄 31호 한 발 벗어나기 언어들 상징을 바꾸고 우리의 언어로 바꾸는 것이 변화의 첫걸음 채효정(‘오늘의 교육’편집장, 정치학자) 선생님과 대담을 기록합니다 임재춘(지지봄봄 편집위원) 임재춘 : 웹진 <지지봄봄>에 새롭게 ‘언어들’이라고 하는 코너가 생겼다. 문화예술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