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검색어 “사례”에 대해 총 131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웹진 (총 131건)
-
[프롤로그] <방담회> ‘존재’로 살아가고, ‘존재’를 만난다는 것 part 1
지지봄봄 42호 -만남의 문법들 인터뷰 <방담회> ‘존재’로 살아가고, ‘존재’를 만난다는 것 part 1 좌장·글 : 돌고래 방담회 참여 : 찬찬, 두두, 바른, 김고은 만남이 번거롭고 때로는 벅차고, 덜 필요해지고 그래서 점점 희박해지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
-
[정책과언어] 타자로서의 그/녀와 잘 지낸다는 것
지지봄봄 42호 -만남의 문법들 정책과언어 타자로서의 그/녀와 잘 지낸다는 것 설동준(문화예술 기획자) “구체적 타자와 진심으로 마주하는 정책이 가능할까?” ‘정책’이라는 맥락에서 ‘대상’이라는 단어를 떠올렸을 때 가장 먼저 생각난 문장이다. 노들장애인…
-
[기술너머] 접근성과 기술, 그 이후
지지봄봄 42호 -만남의 문법들 기술너머 접근성과 기술, 그 이후 최태윤 (작가, 미국 웨인주립대학 조교수) 나는 과학기술에 대한 비평적 관심을 두고 그림, 글, 코딩과 전자 회로 등을 사용하는 미술 작업과 교육을 한다. 그리고 장애인 예술가, 커뮤니티와 함께 작업하고 연대하는 활동을 하고자 노…
-
[지금우리는] ‘학교 밖’이라는 단어에서 자유로워지기를
지지봄봄 42호 -만남의 문법들 지금우리는 ‘학교 밖’이라는 단어에서 자유로워지기를 김미지(남양주시 꿈드림센터), 김두경, 최나윤(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사업 담당자는 교육대상자에 관한 이해가 충분한가? 담당자들은 끊임없이 곱씹는다. 지금 말하는 담당자는 문화재단에 국한하…
-
[언어들] 매개란 ‘관계맺기를 통한 의미로움’을 만들어 내는 것
지지봄봄 41호 -매개를 다시 묻다 언어들 매개란 ‘관계맺기를 통한 의미로움’을 만들어 내는 것 : 직무가 아닌 오롯한 가치지향으로서 ‘매개’를 바라보기 최보연(문화정책연구자/상지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조교수) 들어가며 지난 8월 말, <지지봄봄>에서 ‘매…
-
[표류기] 예술교육 비평 웹진으로 살아남기(담당자 편)
지지봄봄 40호 -멈춤과 도약 사이에서 표류기 예술교육 비평 웹진으로 살아남기(담당자 편) 최나윤 (<지지봄봄> 담당자) 2024년 첫 호의 글을 담당자인 내가 쓰다니. 과분하다 못해 부담스럽다. 새삼 이 부담스러운 자리를 앞으로 쭉 전문가들께 요구해야 하는구나. 미리 그 고충을 체험한다. …
-
[지금우리는] 2023년 경기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전문위원과의 대담
지지봄봄 39호 -겨울의 두께 지금 우리는 II 2023년 경기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전문위원과의 대담 ‘바로 그 예술가’가 초대하는 세계, ‘바로 그 아이’의 세계로 초대받는 예술가, 사람과 사람을 이어내는 존재적인 만남을 향한 유아 문화예술교육의 길 찾기 - ➁부 - …
-
[지금우리는] 싸움의 이유, 혹은 사명에 대하여
지지봄봄 38호 -싸움의 기술 지금 우리는 싸움의 이유, 혹은 사명에 대하여 백현주(프리랜서 기획자) 위기 상황과 사명 의식 #장면1. 2020년 4월, 풍문만 같았던 코로나19 감염병이 점점 실체를 드러내며 심각해지는 시절이었다. 한편으로는 빠르게 위기대응시스템이 마련되었고, 다수의 공공기관…
-
[느긋한우정] 작은 질문에서 시작된 변화, 도시에서 예술의 역할을 찾다
지지봄봄 37호 -조난의 계절에 필요한 힘 현장이 사랑한 현장 릴레이 인터뷰 : 남수가 묻고 고대웅 작가가 답하다 작은 질문에서 시작된 변화, 도시에서 예술의 역할을 찾다 남수(남수현) 작년 가을, 딱따구리 책방에서 인터뷰이로서 대화를 나눌 때 이 인터뷰가 릴레이 형식이라는 것을 듣고 바로 …
-
[표류기] 여전히 빛나는 방황
지지봄봄 37호 -조난의 계절에 필요한 힘 표류기 여전히 빛나는 방황 이경렬(변방의 북소리) 명함 달라는 요청을 종종 받는다. 그럴 때마다 엉거주춤한 자세로 바지에 손바닥을 문질러 댄다. 단체가 있긴 하지만 단체라 부르기 민망한 데다 지역문화예술 단체인 ‘변방의 북소리’ 대표, 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