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검색어 “치유”에 대해 총 42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웹진 (총 40건)
-
[지금우리는] ‘학교 밖’이라는 단어에서 자유로워지기를
지지봄봄 42호 -만남의 문법들 지금우리는 ‘학교 밖’이라는 단어에서 자유로워지기를 김미지(남양주시 꿈드림센터), 김두경, 최나윤(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사업 담당자는 교육대상자에 관한 이해가 충분한가? 담당자들은 끊임없이 곱씹는다. 지금 말하는 담당자는 문화재단에 국한하…
-
[기술너머] 숲으로
지지봄봄 39호 -겨울의 두께 기술너머 숲으로 나무 곁에 있기 김송희(예술가, 숲해설가) ‘숲으로 간다. 햇볕과 나무 그늘이 적당히 어우러지는 곳에서 몸을 바로 세운다. 내 곁의 나무들과 그 안에 부지런히 오가는 작은 것들을 느끼며 긴 숨을 들이마신다. 방금 아까시나무에서 뿜어낸 산소가 …
-
[언어들]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 다양한 삶의 서사를 담은
지지봄봄 37호 -조난의 계절에 필요한 힘 언어들 #생애주기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 다양한 삶의 서사를 담은 백령 들어가며 문화예술교육은 문화, 예술의 접근성과 고유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주체를 발굴하고 통합적 경험과 참여를 독려하는 교육으로 출발하였다. 스스로와 주변을 관찰하고 개인…
-
[넘봄] 당신의 '장국영'은 안녕하십니까?
예술이, 문화가 만만하고 편했으면 좋겠다는 마음, 숨 쉬듯 밥 먹듯 일상이 예술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시작한 문화기획. 거대한 구조 속에서 화려함이 수반되지 않더라도, 예술이 사람만으로도, 마음만으로도, 간혹 발휘되는 재기발랄함만으로도 충분히 즐겁고 유쾌하고 황홀할 수 있을 거라 확신했다. 그 과정에…
-
[곁봄] 모름을 따라가는 문화예술교육
그림 . 2018-2019년 ‘에코 오롯’에서 진행한 산호뜨개 작품의 예이다. 산호뜨개는 꼬불꼬불하게 뜬다는 원칙은 있지만, 규칙이나 패턴이 없는 열린 방식의 커뮤니티 뜨개 방식이다. 제주와 서울에서 500여명의 시민들이 함께 했다. 모름을 따라가는 문화예술교육: “IN CASE OF EMERGENCY, BREAK D…
-
[곁봄] 로컬-되기
코로나19가 야기한 삶의 변화 정도와 속도는 크고 빠르고 직접적이다. 지리적 위치나 사회적 계층에 상관없이 모두 코로나 사태의 영향권 아래 있는데 문화예술계 역시 마찬가지이다. 공간과 무대가 필요한 많은 전시 및 공연이 취소되거나 기약 없이 연기되었다. 전시의 경우 소규모 공간은 제한적으로나마 운영을 하는 …
-
[곁봄] ‘공간’, 그 경계를 넘어 ‘공존’으로
(흘곶마을 바다 풍경, 사진출처 양쿠라.2020) 바닷가 시골 작업실 나의 작업실은 경기도 대부도 서쪽 끝에 위치한 흘곶마을이다. 이 마을은 근래 보기 드문 서로 공생하는 지역이다. 어촌계를 중심으로 갯벌체험을 통한 수익을 나누고 관리하며, 주민 모두가 함께 가꾸어 나간다. 도심에서는 쉽게 상상할 수 없는 커…
-
[가봄] 마음의 움직임을 찾는 사람들, 이미지헌터빌리지
마음이 움직이는 모습을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우리의 마음이 움직였던 흔적들을 누군가는 글귀로, 누군가는 단편의 기억들로 간직한다. 마음이 움직인 흔적들을 찾는 이미지 사냥꾼들이 사는 마을이 있다. ‘이미지헌터빌리지’의 마임이스트 윤푸빗을 만났다. ‘이미지헌터빌리지’라는 이름…
-
[넘봄]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들의 불안을 확인하고 보듬어주는 이야기 "노멀피플"
“개천에서 용 난다.” 더 이상 이 말에 공감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성공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능력과 무관하게 여러 조건이 필요한 시대가 되었고 필연적으로 실패를 피할 수 없게 된 청년들은 쉴 새 없이 좌절과 한계에 부딪히며 무너지고 있다. 능력과 노력만으로는 성공할 수 없다는 박탈감과 허무…
-
[넘봄] 경계를 넘어 새로운 세상을 꿈꾸다-『레오나르도 2빈치』에 대한 몇 가지 생각
2020년, 지구인들은 영화에서나 볼 법한 세상을 살았다. 몇 달이면 끝나겠지 했던 생활이 1년이 다 되어 간다. 아이들은 학교에 가질 못하고 친구나 가족끼리 마음껏 악수를 하지도 껴안지도 못한다. 길을 가다가도 마스크를 쓰지 않은 누군가가 맞은편에서 걸어오면 슬그머니 방향을 돌리기 일쑤다. “뭉치면 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