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검색어 “ 인공지능”에 대해 총 17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웹진 (총 16건)
-
[기술너머] 접근성과 기술, 그 이후
지지봄봄 42호 -만남의 문법들 기술너머 접근성과 기술, 그 이후 최태윤 (작가, 미국 웨인주립대학 조교수) 나는 과학기술에 대한 비평적 관심을 두고 그림, 글, 코딩과 전자 회로 등을 사용하는 미술 작업과 교육을 한다. 그리고 장애인 예술가, 커뮤니티와 함께 작업하고 연대하는 활동을 하고자 노…
-
[기술너머] 키푸와 코드, 기술을 매개하기
지지봄봄 41호 -매개를 다시 묻다 기술너머 키푸와 코드, 기술을 매개하기 전유진(여성을 위한 열린 기술랩) 키푸(Quipu)는 끈과 매듭을 사용한 고대 잉카 문명의 의사소통 체계이다. 가장 오래된 키푸는 약 5,000년 전의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잉카 제국은 문자 언어가 없었지만, 키푸를 사용해 다…
-
[언어들] 질문과 청취의 고군분투
지지봄봄 39호 -겨울의 두께 언어들 질문과 청취의 고군분투, 경기도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여정을 묻다 현혜연(중부대학교 교수) 경제 규모가 커지고 전반적인 소득이 늘면서 국가 위상도 높아졌지만, 일상의 불안과 우울도 압도적으로 커진 대한민국에서 우리는 어떻게 삶의 가치와 행복을 지킬 수 …
-
[표류기] 표류기 방담회 1부
지지봄봄 36호 -저마다의 속도와 리듬으로 표류기 방담회 1부 동네의 길 위에서 표류하는 키잡이들의 항해기를 기록하다 _불확실성을 대하는 태도에 대한 자기 기록/비평의 수다회 삐삐 <36호 표류기>오픈 수다회 초대받은 사람들 김은영(성남 오픈스페이스 블록스), 김혜영(의정부 스무살이협동…
-
[표류기] 표류기 방담회 2부
지지봄봄 36호 -저마다의 속도와 리듬으로 표류기 방담회 2부 동네의 길 위에서 표류하는 키잡이들의 항해기를 기록하다 _불확실성을 대하는 태도에 대한 자기 기록/비평의 수다회 삐삐 <36호 표류기>오픈 수다회 초대받은 사람들 김은영(성남 오픈스페이스 블록스), 김혜영(의정부 스무살이협동…
-
[기술너머] 친애하는 데이터
지지봄봄 36호 -저마다의 속도와 리듬으로 기술너머 친애하는 데이터 송수연(언메이크랩) 인공지능과 데이터는 컴퓨터과학 분야를 넘어 이제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변인이 되었다. 문화예술과 예술교육도 예외는 아니다. 계속 발표되고 있는 거대언어모델이나 이미지 생성모델1)은 이제 누구나 접근하고 …
-
[기술너머] 기술적 유창성 이전에 서성이기
지지봄봄 33호 더듬어가기 기술너머 - 예술과 기술 기술적 유창성 이전에 서성이기 리모스코프(remoscope)와 테크진(Tech zine) 송수연 (언메이크랩) 자신의 감각과 방법으로 기술을 다루기 인간과 기계의 상호 작용이 높아지고 있는 환경에서 이해하고 수용해야 할 기술도 늘어나고 있다. 예술과 기술을 연결 또…
-
[기술너머] 기술을 디더링하기
지지봄봄 32호 생태를 바라보는 시선의 높낮이 기술너머 - 예술과 기술 기술을 디더링하기 페어폰, 카메라 리스트리타, 로테크 웹사이트1) 송수연 (언메이크랩) 자유 라디오 운동을 한 코카와 테츠오는 송신기를 만들어 전파를 내보는 것은 해방감 넘치는 일이라고 말했다. 코가와 테츠오는 라디오 송신기 기술을 …
-
[기술너머] 우리를 르네상스인 이라고 생각해 봅시다
지지봄봄 31호 한 발 벗어나기 기술너머 - 재난 시대의 기술과 생태 우리를 르네상스인 이라고 생각해 봅시다 이상하게 들리겠지만... 최빛나(언메이크랩) 한 철학자의 흥미로운 표현을 보았다. '지금은 르네상스 시대이다'. GPT-31)라는, 파괴적일 정도의 가능성을 지닌 자연어 처리 인공지능 모델에 대…
-
[넘봄] 경계를 넘어 새로운 세상을 꿈꾸다-『레오나르도 2빈치』에 대한 몇 가지 생각
2020년, 지구인들은 영화에서나 볼 법한 세상을 살았다. 몇 달이면 끝나겠지 했던 생활이 1년이 다 되어 간다. 아이들은 학교에 가질 못하고 친구나 가족끼리 마음껏 악수를 하지도 껴안지도 못한다. 길을 가다가도 마스크를 쓰지 않은 누군가가 맞은편에서 걸어오면 슬그머니 방향을 돌리기 일쑤다. “뭉치면 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