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검색어 “”에 대해 총 1821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웹진 (총 491건)
-
[프롤로그] <방담회> ‘존재’로 살아가고, ‘존재’를 만난다는 것 part 1
지지봄봄 42호 -만남의 문법들 인터뷰 <방담회> ‘존재’로 살아가고, ‘존재’를 만난다는 것 part 1 좌장·글 : 돌고래 방담회 참여 : 찬찬, 두두, 바른, 김고은 만남이 번거롭고 때로는 벅차고, 덜 필요해지고 그래서 점점 희박해지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
-
[프롤로그] <방담회> ‘존재’로 살아가고, ‘존재’를 만난다는 것 part 2
지지봄봄 42호 -만남의 문법들 인터뷰 <방담회> ‘존재’로 살아가고, ‘존재’를 만난다는 것 part 2 좌장·글 : 돌고래 방담지지봄봄 42호 -만남의 문법들 인터뷰 <방담회> ‘존재’로 살아가고, ‘존재’를 만난다는 …
-
[표류기] <다라가>로 시작된 대정골 마을 이야기
지지봄봄 42호 -만남의 문법들 표류기 <다라가>로 시작된 대정골 마을 이야기 강영훈(제람) ‘제주 사람’이라 그 앞 글자와 뒷글자를 따서 ‘제람’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저는, 제가 사는 제주도 서귀포시 대정읍에 위치한 대정골 지역아동센터 아이들과 예술을 매개…
-
[표류기] 발견과 만남
지지봄봄 42호 -만남의 문법들 표류기 발견과 만남 이성수(힘빼고컴퍼니 대표) 1. 결론부터 말하자면, '접근성'이 바로 예술 예술이란 나와는 거리가 먼 것으로 인식하며 살았다. 내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이 그러했다. 그런데 중도 시각 장애인이 되고 30대 중반 가량 되었을 무렵 …
-
[표류기] 공간과 함께 오는 것들
지지봄봄 42호 -만남의 문법들 표류기 공간과 함께 오는 것들 김민(초록놀이터 대표) 우리 초록놀이터에게, ‘공간’이 가지는 의미는 크다. 이름대로 정원이나 숲, 텃밭이 활동 배경이자 주제이자 소재이다 보니 가장 먼저 고려하는 요소가 바로 ‘공간’이다. 또한 공간이 단순…
-
[정책과언어] 타자로서의 그/녀와 잘 지낸다는 것
지지봄봄 42호 -만남의 문법들 정책과언어 타자로서의 그/녀와 잘 지낸다는 것 설동준(문화예술 기획자) “구체적 타자와 진심으로 마주하는 정책이 가능할까?” ‘정책’이라는 맥락에서 ‘대상’이라는 단어를 떠올렸을 때 가장 먼저 생각난 문장이다. 노들장애인…
-
[기술너머] 접근성과 기술, 그 이후
지지봄봄 42호 -만남의 문법들 기술너머 접근성과 기술, 그 이후 최태윤 (작가, 미국 웨인주립대학 조교수) 나는 과학기술에 대한 비평적 관심을 두고 그림, 글, 코딩과 전자 회로 등을 사용하는 미술 작업과 교육을 한다. 그리고 장애인 예술가, 커뮤니티와 함께 작업하고 연대하는 활동을 하고자 노…
-
[지금우리는] ‘학교 밖’이라는 단어에서 자유로워지기를
지지봄봄 42호 -만남의 문법들 지금우리는 ‘학교 밖’이라는 단어에서 자유로워지기를 김미지(남양주시 꿈드림센터), 김두경, 최나윤(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사업 담당자는 교육대상자에 관한 이해가 충분한가? 담당자들은 끊임없이 곱씹는다. 지금 말하는 담당자는 문화재단에 국한하…
-
[프롤로그] “우린 흙에서 왔으니 흙과 연결되어 있지”
지지봄봄 41호 -매개를 다시 묻다 프롤로그 “우린 흙에서 왔으니 흙과 연결되어 있지” <우리의 20세기> 00:08:33 오지(이솜이) 세기를 기록하고 다시금 이야기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애석하게도 그 세기를 통과해야만 되는 것같습니다. 우리의 20세기를 만든 마이크 밀스 감독 역시…
-
[느긋한우정] 일상이 쌓여서 특별해지는 매일
지지봄봄 41호 -매개를 다시 묻다 느긋한 우정 일상이 쌓여서 특별해지는 매일 송지은(라움콘) 돌봄과 예술을 어떻게 함께 할 수 있을까? 6년 전, 돌봄과 예술 사이에서 활동하며 두 단어가 부딪치며 삶이 혼란스러울 때 품어본 질문이다. 다행히 걷기, 대화하기 같은' 일상 경험'이 작업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