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톤앤워터
#시각예술 #커뮤니티아트 #공공예술 #예술교육 #다원예술
| 단체명 | 스톤앤워터 | ||
|---|---|---|---|
| 소재지 | 경기 안양시 만안구 안양로475번길 5 B1 HABITAT | ||
| 장르 | 미술, 융합 | ||
| 설립년도 | 2002 | ||
| 주요사업 | 1 | 프로그램명 | 키덜트 부트캠프 |
| 장소 | HABITAT | ||
| 기간 | 2025. 05. ~ 2025. 11. | ||
| 지원사업여부 | 경기문화재단 중견예술단체 교육프로그램 ‘펼쳐지는 꿈틀’ 선정 사업 | ||
| 2 | 프로그램명 | Untitled | |
| 장소 | HABITAT | ||
| 기간 | 2025. 07. ~ 2025. 11. | ||
| 지원사업여부 | 경기문화재단 중견예술단체 판로 지원 ‘노는 예술’ 선정 사업 | ||
| 3 | 프로그램명 | ||
| 장소 | |||
| 기간 | ~ | ||
| 지원사업여부 | |||
| 홈페이지/SNS |
|
||
| 연락하기 |
|
||
: 기획자 인터뷰
- 단체 소개
스톤앤워터는 “생활 속 예술”을 통해 지역의 문화생태성에 입각한 공공미술, 동호회활동, 지역 축제, 문화예술교육 분야에서 실험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추진하며 문화재생을 통한 지역성장의 한계를 극복하고 창의적인 마을문화환경을 조성한다.
스톤앤워터는 공공예술과 예술교육을 하는 비영리문화단체이며 마을문화를 창출하는 마을공동체의 중심 기관이다. 수년 전부터 공유주방과 공유냉장고 시스템을 운영하며 지역민들의 지역에서 문화 교류의 매개체 역할을 해오고 있다. 일상속의 문화활동을 발굴, 탐구하는 활동을 진행하며 일상생활 속에 존재하는 문화의 다양성을 서로같이 공유하는 문화마을공동체를 형성하고자 한다.
스톤앤워의 마을문화 활동은 공간을 물리적 개념으로 한정하지 않고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소통의 공간으로 간주하며 지역 공동체의 참여, 장/단기적 작업을 제안한다. 또한 활동기간 및 시간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고 마을의 환경에 스며들어가는 생활 속의 문화활동을 유도하고 확장된 마을문화 생태계 ‘창의적 서식지 Creative Habitat' 조성을 목표로 한다.
예술은 가르칠수도 배울수도 없는 분야이다. 단지 우리의 일상에 예술활동이 있다는 믿음을 가지는 것이다. 스톤앤워터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학습자를 창작의 주체로 존중하며,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이다.
• 창작의 주체성 – 학습자를 단순한 지식 수용자가 아니라 창작자로 존중하며, 각자의 경험과 감각을 바탕으로 예술을 만들어가는 존재로 바라본다.
• 공동 창작과 소통 – 교육자는 일방적인 지식 전달자가 아니라 협력자로서 학습자와 함께 예술을 탐구하고 창작하는 과정을 중시한다.
• 과정 중심 – 결과보다는 창작 과정에서의 경험, 사고의 확장, 감각의 표현을 중요한 가치로 둔다.
• 예술의 일상성 – 예술이 특정한 전문가만이 하는 활동이 아니라, 누구나 자신의 삶에서 실천하고 표현할 수 있는 것임을 강조한다.
• 다양성과 개방성 – 정해진 틀보다는 개개인의 창의적 해석과 표현을 존중하며, 다양한 예술적 접근을 수용한다.
- 앞으로 5년 안에 우리는
스톤앤워터에서 출발한 청년예술인협동조합을 설립하여 안양 중앙시장 허브에 제 2의 작업실을 마련하고 청년 예술인들과의 꾸준한 협업을 지속하며 그들의 활동을 서포트/상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우리의 최종 목적은 or 궁극적인 목표는
예술로 사는 재미를 찾아 나가는 것.
- 앞으로 도전해보고 싶은 장르(분야)는
지금 하고 있는 것들을 매너리즘에 빠지지 않은 채로 더 풍요롭게 해나가고 싶다.
- 지금까지 활동을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생활 속의 예술"
제안하기란?
함께 협업하고자 하는 단체/활동가/공간에게 제안서를 보낼 수 있는 기능입니다.
제안을 받은 단체/활동가/공간은 '예술교육지도 탭 < 제안 내역 확인' 메뉴 또는
카카오톡 알림 서비스(6월중 오픈)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