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호를 읽고 싶으신가요?
- [지지봄봄_41호] 매개를 다시 묻다
- [지지봄봄_40호] 멈춤과 도약 사이에서
- [지지봄봄_39호] 겨울의 두께
- [지지봄봄_38호] 싸움의 기술
- [지지봄봄_37호] 조난의 계절에 필요한 힘
- [지지봄봄_36호] 저마다의 속도와 리듬으로
- [지지봄봄_35.5호] 침을 뱉어라
- [지지봄봄_35호] 도구, 다정하고 날카로운
- [지지봄봄_34.5호] 공모라는 레토릭
- [지지봄봄_34호] '-다움'을 짓기 위한 상상
- [지지봄봄_33호] 더듬어가기
- [지지봄봄_32호] 생태를 바라보는 시선의 높낮이
- [지지봄봄_31호] 한 발 벗어나기
- [지지봄봄 30호] 비평의 자격과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 29호] 삶과 공간의 변화 - 앞당겨진 초연결 사회 속으로의 ㅋㄹㄴㅅㅍㅇㅅ의 모험
- [지지봄봄_28호] 《지지봄봄》 10주년, 과거와 미래 사이에서(문화예술교육과 시민력(市民力))
- 2020년 |스페셜호 - 온라인 고민공유 집담회 <고민빨래방>
- [지지봄봄_27호] 문화예술교육을 둘러싼 기준들
- [지지봄봄_26호] 누구와 무엇으로 어떻게 만날까
- [지지봄봄_25호] 쉽게 달라지지 않는 것들 사이에서 해보고 있는 것들
- [지지봄봄_24호] 문화예술교육과 연결된 사람들
- [지지봄봄_23호] 문화예술교육, 가르침에서 배움으로
- [지지봄봄_22호] 문화예술교육, 체험에서 경험으로
- [지지봄봄_21호]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 전환을 위하여
- [지지봄봄_20호] 문화예술교육의 기본을 교육예술로 묻다
- [지지봄봄_19호] 공동체에서 꽃피는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_18호] 삶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 메신저가 메시지다
- [지지봄봄_17호] 삶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 [지지봄봄_16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다시, 문화예술교육을 위하여
- [지지봄봄_15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연구자의 시선
- [지지봄봄_14호] 문화예술교육 10년
- [지지봄봄_13호] 그럼에도 불구하고 함께 사는 교육을 위하여
- [지지봄봄_12호] 문화예술교육과 생명
- [지지봄봄_11호] 문화예술교육과 민주주의, 지금 여기로부터
- [지지봄봄_10호] 문화예술교육의 자유
- [지지봄봄_6호] 불온(不溫)한 문화예술교육, 사랑하며 춤출 수 있는 용기
- [지지봄봄_5호] 배움의 의례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 [지지봄봄_4호] 경계에서 학교와 문화예술교육의 이념을 돌아보고 방법을 생각합니다
- [지지봄봄_3호] 문화시설이 지역구성원 모두의 창조적 공유지가 되기 위한 실천적 생각들
- [지지봄봄_2호] 문화예술교육의 장소들 곁에서 미적경험의 순간을 봅니다.
- [지지봄봄_1호] 예술가와 아이들을 춤추게 하는 문화예술교육제도
지지봄봄_41호
매개를 다시 묻다
-
프롤로그
“우린 흙에서 왔으니 흙과 연결되어 있지”
지지봄봄 41호 -매개를 다시 묻다 프롤로그 “우린 흙에서 왔으니 흙과 연결되어 있지” <우리의 20세기> 00:08:33 오지(이솜이) 세기를 기록하고 다시금 이야기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애석하게도 그 세기를 통과해야만 되는 것같습니다. 우리의 20세기를 만든 마이크 밀스 감독 역시 1966년 3월 20일생(..
자세히보기 + -
느긋한우정
일상이 쌓여서 특별해지는 매일
지지봄봄 41호 -매개를 다시 묻다 느긋한 우정 일상이 쌓여서 특별해지는 매일 송지은(라움콘) 돌봄과 예술을 어떻게 함께 할 수 있을까? 6년 전, 돌봄과 예술 사이에서 활동하며 두 단어가 부딪치며 삶이 혼란스러울 때 품어본 질문이다. 다행히 걷기, 대화하기 같은' 일상 경험'이 작업으로 연결되며 돌봄과 예..
자세히보기 + -
표류기
공간이 경험을 매개할 때: 데이터와 관찰로 만든 새로운 풍경
지지봄봄 41호 -매개를 다시 묻다 표류기 공간이 경험을 매개할 때: 데이터와 관찰로 만든 새로운 풍경 김정민 (제3의 시간 도서관 관장, 도서문화재단 씨앗 콘텐츠 랩 실장) 휴대전화에 빠져있던 이용자들이 책을 집어 들고 숙제만 하던 이용자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쓰기 시작하고 게임에 몰두하던 이용자들이 박스 지..
자세히보기 + -
표류기
공간 ‘활성화’를 둘러싼 오해와 변명
지지봄봄 41호 -매개를 다시 묻다 표류기 공간 ‘활성화’를 둘러싼 오해와 변명 오레오 공공 문화재단에서 문화 기획과 예술 행정, 공간과 콘텐츠가 만나는 접점에서 꽤 오래 일해온 필자로서는 밑도 끝도 없이 불쑥불쑥 나오는 ‘공간 활성화’ 얘기만 들어도 혈압이 오르고 짜증이 치솟는다. &ldq..
자세히보기 + -
기술너머
키푸와 코드, 기술을 매개하기
지지봄봄 41호 -매개를 다시 묻다 기술너머 키푸와 코드, 기술을 매개하기 전유진(여성을 위한 열린 기술랩) 키푸(Quipu)는 끈과 매듭을 사용한 고대 잉카 문명의 의사소통 체계이다. 가장 오래된 키푸는 약 5,000년 전의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잉카 제국은 문자 언어가 없었지만, 키푸를 사용해 다양한 정보가 담긴 방..
자세히보기 + -
언어들
매개란 ‘관계맺기를 통한 의미로움’을 만들어 내는 것
지지봄봄 41호 -매개를 다시 묻다 언어들 매개란 ‘관계맺기를 통한 의미로움’을 만들어 내는 것 : 직무가 아닌 오롯한 가치지향으로서 ‘매개’를 바라보기 최보연(문화정책연구자/상지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조교수) 들어가며 지난 8월 말, <지지봄봄>에서 ‘매개’ 개념에 대..
자세히보기 + -
지금우리는
노는 예술 3년 차, 현장을 통한 내 삶의 변화
지지봄봄 41호 -매개를 다시 묻다 지금 우리는 노는 예술 3년 차, 현장을 통한 내 삶의 변화 윤가연(프로젝트 곳곳) “노세 노세 젊어서 놀아.” “신명 나게 놀아봄세.” “푸지게 놀아보자.” 욕마저 “놀고 있다.”고 표현하는 대한민국에서 <노는 예술>이라니. 기..
자세히보기 +